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均如향가에 나타난 澄觀의 영향

이용수 139

영문명
Chengguan's Influence appearing in Old Korean Folk Songs(Hyangga) of Gyunnyeo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이선이(태경)(LEE, Sunni)(Tae Kyung)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34輯, 13~4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불교사상을 이해하는데 고려(Goryeo, 918-1392)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均如(Gyunnyeo, 923-973)는 그의 화엄(華嚴)사상보다 향가(鄕歌)가 일찍부터 주목 받아왔다. 균여의 저술이 완전히 전해지지 않고 저술 속에서도 향가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향가와 화엄사상과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균여는 보현십종원왕가(普賢十種願王歌) 서문에서 澄觀(Chengguan, 738-839)이 사용한 ‘보인(普因)’을 근거로 사뇌가(詞腦歌)를 지었다고 한다. 이에 착안하여 균여가 사용하는 불체(佛體), 상수불학원(常隨佛學願), 普因의 사유체계를 징관의 보현행원품소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균여의 향가에서는 佛體와 경문을 이용하고 있다. 참회(懺悔)와 신구의 삼업(身口意三業)은 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와 제불예경가(諸佛禮敬歌)에서 강조하며, 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에서는 무진(無盡)의 회향을 나타낸다. 제11총결무진가(總結無盡歌)에서 普因과 無盡이 하나이며, 果로 나타난다. 화엄행자로서 균여는 화엄의 실천을 普因으로 드러내려고 사뇌가를 지은 것이다. 향가에 나타나는 佛體는 法(다르마, dharma)과 衆生(샤트바, sattva)과 나를 모두 포함하는 융삼세간(融三世間)의 佛로서 이해하며, 시성정각(始成正覺)의 뜻이다. 균여가 普因을 강조하며 총결무진가를 지을 수 있었던 것은 징관의 화엄경관(華嚴經觀)을 통해서 가능하였을 것이다. 균여는 징관의 화엄경관에 머무르지 않고 普因의 실천자를 융삼세간불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실천자로서 佛體를 이해한 것이다. 보현십종원왕가의 보현행원(普賢行願)은 다함이 없는 행이며, 행의 주체가 곧 佛體이다. 이것이 보현행원이 원왕(願王)이 되는 이유이다.

영문 초록

On understading Korean Buddhist thoughts, Goryeo holds an important position. Especially, Gyunnyeo(923-973), a figure in the age of Goryeo, has been noticed early as his Hayangga rather than his Avatamska thoughts. Because Gyunnyeo's writings have been completely passed and comments for Hyangga were not included in writings, there is a limit as explanations for relation of Hyangga and Avatamska thoughts. In the preface of "Bohyeonsipjongwonwangga"(Samantabhadra's Songs founding ten origins), Gyunnyeo is considered to create Sanoiga(another name for Hyangga), based on all causes that Chengguan(738-839) had used. This can make Gyunnyeo intend to clarify thinking systems of Body of Buddha, Truth always learning Buddha and All Causes through Chengguan's Bohyeonhangwonpumso(Samantabhadra's Behaviors and Communication). Buddhist origins and sutras are used in Gyunnyeo's Hyangga. Penitence and Three Karma of Body, Mouth and Thinking are emphasized in "Chamhoieopjangga"(Songs regretting wrong actions) and "Jebulyegyeongga"(Songs honoring all Buddha), are appeared as longing for home of limitlessness in "Hangsunjungsaengga"(Songs following sattva). All causes and limitlessness are the one in "11th Chonggyeolmujinga"(Songs concluding as limitlessness), and appeared as a result. Gyunnyeo as a performer for Avatamska, created Sanoiga in order to reveal the practice of Avatamska as all causes. Buddhist origins appearing in Hyangga are understood as a Buddha including past, present and future as one that covers dharma, sattva and I, and they mean "achieving right enlightenment at first." Through understanding the Avatamska Sutra of Chengguan, it is possible for Gyunnyeo to create Songs concluding as limitlessness, emphasizing all causes. Gyunnyeo interpreted a performer of all causes as a Buddha including past, present and future, not to stay in understanding the Avatamska Sutra of Chengguan. So, he understood Buddhist origins as a performer. Samantabhadra's code of conduct in Samantabhadra's Songs founding ten origins, is a limitless action and a subject of action is just a Buddhist origins. That is the reason why Samantabhadra's code of conduct can be "Wonwang"(the best actions).

목차

목 차
국문 요약
1. 문제의 소재
2. 보현십종원왕가와 佛體
3. 澄觀의 普因과 보현십원
4. 一佛體의 의미
5. 균여의 사유에 보이는 징관의 영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이(태경)(LEE, Sunni)(Tae Kyung). (2010).均如향가에 나타난 澄觀의 영향. 보조사상, 34 , 13-42

MLA

이선이(태경)(LEE, Sunni)(Tae Kyung). "均如향가에 나타난 澄觀의 영향." 보조사상, 34.(2010): 13-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