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地論宗南道派의 阿梨耶識이해에 대한 일 고찰 眞智․緣智와 二障說을 중심으로

이용수 254

영문명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Alaya Consciousness in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In the Concepts of True Knowing and Conditional Knowing and the Theory of Two Hindrances of the Hidden and the Disclosed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석길암(Gilahm Seok)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34輯, 237~27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地論宗의 阿梨耶識에 대한 이해는 불투명한 점이 적지 않다. 직접적인 자료도 거의 남아있지 않고, 남아있는 자료 안에서도 아리야식에 대한 이해가 통일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지론종 남도파에서 사용한 몇몇 중요한 개념들의 분석을 통해 이와 같이 불분명한 지론종의 아리야식관에 대한 이해를 좀더 심화시켜보고자 한 것이다. 필자는 통설의 관점에서 말하는 것과 같은 지론종 남도파와 북도파의 대립은, 菩提流支와 勒那摩提의 직접적인 대립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또한 지론종 남도파의 설로 간주되는 眞修·緣修, 自體因果·異體因果및 慧遠(523-592)의 『十地義記』에 나타나는 有爲緣集·無爲緣集·自體緣集등의 개념분화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사태에 대한 다른 해석의 竝存가능성에서 비롯된 것이고, 그 분기점은 菩提流支가 번역한 『十地經論』과 『入楞伽經』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곧 보리유지 이후, 이해의 층차에 따라 남도파와 북도파의 설이 달라진 것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 논문은 지론종 남도파의 주요 개념인 眞智ㆍ緣智의 용례와 정영사 혜원이 제시한 隱現의 二障說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지론종 남도파의 아리야식 개념을 역으로 추적한 것이다. 검토의 결과, 논자의 생각으로는, 지론종 남도파는 보리유지의 번역 경론에서 비롯되는 空理(眞如佛性)로서의 제8아리야식과 종자식으로서의 제7아리야식이라는 구조를 끝까지 견지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그러한 생각이 八識眞智ㆍ七識緣智/八識眞修․七識緣修라고 하는 개념태를 배태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 같은 사유체계는 혜원이 『섭론』과 『대승기신론』의 설을지론종의 식설에 도입하여 제8식을 진망화합식으로 설정하면서 변화를 겪게 된다. 하지만 혜원의 「팔식의(八識義)」와 『대승기신론의소』에 나타나는 식설들을 진지ㆍ연지의 개념 그리고 隱現의 이장설 등을 중심으로 검토해보면, 새로운 식설로서 재정리된 것이 아니라 혼재의 상태로 남아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곧 혜원은 지론종 남도파 전통의 식설과 섭론과 기신론의 영향을 받은 식설들을 혼재시키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혜원은 「팔식의」에서는 『섭론』과 『기신론』의 식설을 수용하지만, 그것이 이장설에까지 수용되고 있지는 않다. 혜원이 제시한 隱現의 이장설은 단순히 七識緣智와 八識眞智라는 지론종 남도파의 전통적인 이해의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이다. 혜원에게 보이는 이와 같은 아리야식 개념의 혼재는, 이후에 등장하는 섭론학파-지론종 남도파의 변신인-의 다양한 식설로 전개되는 계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The understanding of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is unclear in many points. There are few extant direct sources, which is even not unified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alaya consciousness. This article purports to clarify their understanding of the alaya consciousness through the analysis of a few important concepts used in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I think that the ordinary view abou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outhern Branch and the Northern Branch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actual confrontation between Pudhiliuzhi and Leinamadi. In addition, I think that the conceptual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rue practice and the conditional practice and between the substantial causality and the variant causality and among the active conditional collection and the inactive conditional collection and the substantive conditional collection in the Huiyuan(523‐592)’s Commentary on the Significance of the Ten Grounds [十地義記], which have been considered to belong to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might have basically originated from the probability of the coexistence of various interpretations on a single event, the diverging point appearing in the Commentary on the Sutra of Ten Grounds [十地經論] and the Sutra on (the Buddha's) Entering (the Country of) Lanka [入楞伽經] both translated by Pudhiliuzhi. In other words, After Pudhiliuzhi, the theories of the Southern Branch and the Northern Branch might have been diverg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ir interpretations. This article traces back the concept of alaya consciousness of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sage of its main concepts of true knowing and conditional knowing and the theory of the two hindrances of the hidden and the disclosed suggested by Huiyuan at the Jinyingsi Temple. After the analysis, I came to think that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continued to adhere to the structure of the eighth alaya consciousness as the principle of the emptiness (the true Buddha nature) and the seventh alaya consciousness as the consciousness of the seed, which had originated from Pudhiliuzhi’s translations of sutras and shastras. The concepts of true knowing at the eighth consciousness and conditional knowing at the seventh consciousness and the true practice at the eighth consciousness and the conditional consciousness at the seventh consciousness might also have originated from such thoughts. This system of thought undergoes changes as Huiyuan comes to consider the eighth consciousness as the consciousness of the combination of the true and the false, introducing the theories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nd the Mahayana Samgraha into the theory of consciousness in the Dilun School. After the analysis of Huiyuan’s Significance of the Eighth Consciousness and Commentary on the Significance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in their theories of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concepts of true knowing and conditional knowing and the theory of the hindrances of the hidden and the disclosed, however, they are ascertained not to have been rearranged according to a new theory of consciousness but to have remained in a mixed state. That is, Huiyuan is in a mixed state between the theory of consciousness in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and the theories influenced by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nd the Mahayana Samgraha. In the Significance of the Eighth Consciousness, Huiyuan accepts the theory of consciousness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nd the Mahayana Samgraha, though this does not expand to the theory of two hindrances. Huiyuan’s suggestion in the theory of two hindrances of the hidden and the disclosed is simply within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in the seventh conditional knowing and the eighth true knowing.

목차

목 차
국문 요약
1. 문제의 소재
2. 菩提流支 번역 경론에서의 阿梨耶識
3. 眞智․緣智와 아리야식
4. 眞智ㆍ緣智와 隱現의 二障說-정영사 혜원의 경우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석길암(Gilahm Seok). (2010).地論宗南道派의 阿梨耶識이해에 대한 일 고찰 眞智․緣智와 二障說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34 , 237-272

MLA

석길암(Gilahm Seok). "地論宗南道派의 阿梨耶識이해에 대한 일 고찰 眞智․緣智와 二障說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34.(2010): 237-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