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범죄수사 및 공판절차에 있어서 과학적 증거에 관한 연구

이용수 561

영문명
The Study on Scientific Evidence in Criminal Investigation & Trials : Concentrating on Interpretation of Scientific Reliability Related to Admissibility and Weight of Scientific Evidence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권창국(Kwon, Chang kook)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6권 제3호, 3~3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과학적 수사기법내지 과학적 증거는 사실판단의 합리성과 객관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자백등 진술 증거에 집중한 수사방식에서 객관적 물증을 중심으로 한 탈 자백적 수사방식을 패턴변화를 유발시킴으로써, 수사절차에서의 인권침해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점에서 실천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나 소위 CSI 효과로 지칭되는 예에서 알 수 있듯이, 과학적 증거는 배경지식이나 관련 판단능력이 부족한 일반인으로서의 사실판단주체에게 '막연하지만 절대적인 신뢰감(hallucination of scientific reliability or soundness)'을 주게 됨으로써, 결정적 오판원인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결국, 과학적 증거의 활용에 있어서, 이러한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활용모델, 특히 증거법적 판단절차를 통해 사이비 과학(junk science)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판단기준의 설정이 핵심적 과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사 및 형사공판실무 과학적 증거가 활용되는 사례의 대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과학적 증거를 활용하기 위한 인적, 물적 인프라는 사실 상, 수사기관에 집중, 주도되고 있다. 따라서 과학적 증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피의자, 피고인의 방어권은 위축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요소라 하겠다. 결국, 적정한 과학적 증거에 대한 활용모델 내지 증거법적 가치판단의 기준은 피의자, 피고인의 접근가능성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는 기반의 구축여부에 대한 고려와 함께 사이비과학의 유입을 적절히 제어하여 오판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과학적 증거 일반에 내재된 신뢰성 판단문제를 증거법적 판단과정을 통해 어떻게 여과할 수 있는가 라는 쟁점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되, 피의자, 피고인의 방어권을 보장하기 위한 과학적 증거에의 접근가능성을 고려하여 한국의 수사 및 공판실무에 적합한 증거법적 가치판단기준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oday, it i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to use scientific evidence or forensic evidence as large scale in criminal investigation and trial. Generally speaking, the aim of using scientific evidence in criminal cases is laid in; first, changing the form of criminal investigation mainly not by using testimonial evidence but by using real evidence, for due process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second, insuring reasonableness in facts finding procedure, etc. But there is the most important premise to have positive function of scientific evidence activated. That is, it is the problem of reliability of scientific evidence. Fact finders(Jury or Judge) as layperson not as expert of science can be led to erroneous direction by malfunction of scientific evidence, because of the tendency of layperson to overestimate perfectness of science and shortness of ability to understand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background aspects of evidence. So, the exact estimation of evidentiary reliability(screening junk science) is core problem in scientific evidence. In this study, I tried to introduce the criteria of estimating reliability of scientific evidence(including psychological and the other social scientific evidences) and forms of infra-structure, considering the unique situation of criminal investigation and trial in Korea. in conclusion, I have proposed dual standard for reliability of scientific evidence as a requisite to admissibility. That is. to prosecution, appling conservative standard, the other side, to defendant or suspects, we can apply more liberal standard. The basic of this logic is located in; first, making a gap in estimating the admissibility of forensic evidence between prosecution and defendant or suspect, the inferior defensive ability of defendant or suspect can be restored. So, we can realized substantial adversarial system in Korea criminal justice system. Second, this dual standard can be supported by constitutional principle like as, estimation of innocence until decision of guilty, guarantee of sufficient defensive opportunity to defendant, and so on. third, this consideration is on the hard fact of Korea that usually, defendants or suspects are short of opportunity to access to forensic experts & facilities by problems of economic or other reasons, comparing to prosecution or police, and there is short of a pool of neutral forensic experts & facilities. etc. And in estimating the weight of scientific evidence, I have proposed that scientific evidence has not to be used independently for personal identification, in stead, has to be used with other evidence, simultaneously.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과학적 증거의 가치판단과 신뢰성 문제
III. 과학적 증거의 신뢰성 판단기준에 관한 비교검토
IV. 과학적 증거의 신뢰성 판단기준의 설정 등에 대한 제안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창국(Kwon, Chang kook). (2010).범죄수사 및 공판절차에 있어서 과학적 증거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6 (3), 3-35

MLA

권창국(Kwon, Chang kook). "범죄수사 및 공판절차에 있어서 과학적 증거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6.3(2010): 3-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