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처벌제도의 위헌성

이용수 1189

영문명
Unconstitutionality of Truth Defamation Laws
발행기관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저자명
박경신(Kyung Sin Park)
간행물 정보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16卷 第4號, 35~7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실명 및 얼굴공개 문제의 프레임으로 제시하는가 아니면 진실표현의 문제의 프레임으로 제시하는가에 따라 상당수의 사람들이 그 문제를 대하는 태도가 달라진다. 이와 같이 문제의 표현방식이 문제의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 현상은 특히 얼굴 공개에서 더욱 크게 나타난다. 사람들은 ‘홍길동의 어두운 과거에 대해서 이야기해도 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긍정하면서 ‘홍길동의 어두운 과거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그 사람의 얼굴을 공개해도 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강하게 부정적으로 답변한다. 이름은 동명이인이 많아 사람을 명확히 특정하지 못하지만 얼굴은 사람을 더욱 세밀하게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실명이나 얼굴이 사람의 기표로서의 역할을 하는 한 그 사람에 대해 진실적시는 허용하면서 실명 및 얼굴공개는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실명과 얼굴은 각 개인이 타인들이 자신들을 인식하도록 공중에 공개한 표지이다. 한 개인이 자신의 얼굴의 사진을 찍어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거나 평소에 얼굴을 가리지 않고 공개하고 다녔다면 또는 자신의 실명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주었다면 그 사람의 얼굴과 실명을 접한 사람들은 그 사진들을 돌려보며 소통 할 자유를 가지며 그 실명을 이용하여 소통할 자유를 가진다. 이 자유는 바로 그 개인에 대해 견해와 정보를 주고받을 자유 즉 헌법상 표현의 자유이며 소통의 내용이 그 사람의 잘못에 관한 것일 경우에도 그 자유는 보호되어야 하는가가 쟁점이 된다. 결국은 얼굴공개와 실명공개의 문제는 타인에게 불리한 진실의 적시 문제로 환원된다. 물론 아래에서 다루겠지만 프라이버시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진실에 대해서는 별도의 프라이버시규제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면 실명이나 얼굴도 프라이버시의 일부라는 주장이 있을 수 있고 이를 지렛대로 하여 진실적시는 허용되지만 실명공개나 얼굴공개는 아니된다는 주장도 있을 수 있다. 또 얼굴 공개의 경우 초상권이라는 별도의 법익이 결부되어 있을 수 있고 실명은 사람을 특정하는 것에 그치지만 얼굴은 특정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얼굴의 생김새라는 그 사람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는 주장이 있을 수 있다.

영문 초록

Article 307 Paragraph 1 of the Korean Criminal Code imposes defamation liability on truthful statements thereby excessively restricting free speech and most of all does not advance its legislative purpose of protecting reputation. If words critical of a person could be suppressed even if true, his or her reputation being protected by that repression is only a hollow one. If true statements infringe on privacy or face-related rights, they should be regulated by separate laws or if regulated by Article307(1) should be suppressed only when such interests are infringed. Punishing truths cover up identities of dangerous individuals, companies, and institutions - we are discussing only truths and no false claims - thereby restrict people's right to know and to take self-protective measures, and lower the reputation of those individuals, companies, and institutions otherwise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the problematic ones and thereby undermine a natural incentive to do better. Punishing truths are not allowed under the laws of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the two countries mostly relevant to Korea in a comparative-legal perspective. Article 310 exempts from the liability truths published "for the sole purpose of advancing public interest" but this exemption does not protect free speech sufficiently. Courts are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 method, and purpose of the publication in determining its public-interestedness (whether the publication lowers the reputation too much, whether it reached too great an audience, and whether it was motivated by a desire to attach the subject) and thereby eroding the coverage of the 'public interest' exemption. Such erosion is incongruent with its legislative purpose of preventing socially important messages from being suppressed. What is more, such erosion either narrows or makes uncertain the coverage of the exemption and thereby chills even those statements definitely covered. The truth defamation law, together with falsity defamation law, produces the result of 'guilty regardless whether the statement is true or false' and thereby distorts allocation of the burden of proof in falsity defamation cases. Some cases end up in convictions or indictment even without a finding or even a claim of falsity in falsity defamation cases such as in the lower court's conviction of Assemblyman Noh for disclosing prosecutors' names in quasi-bribery schemes and the indictment of MBC producers for commenting on the beef import policy and its vulnerability mad cow diseases. Also, the lack of protection for truth does not allow development of the neutral reportage rule whereby a very public-interested truthful fact that someone made a public-interested claim can be freely allowed. The lack of the neutral reportage rule and the distorted allocation of the burden of proving falsity present a serious threat to whistle-blowing which inevitably depends much on republishing another's claim in absence of sufficient evidence.

목차

1. 문제의 정의-실명공개, 얼굴공개와의 관계
2. 과잉금지원칙 심사-법익의 비례성-진실억제의 직접적 폐해
3. 과잉금지원칙심사-침해의 최소성-공익성의 항변으로 충분한가
4. 과잉금지원칙-법익의 비례성-프라이버시라는 공익의 보호(?)
5. 얼굴공개 및 실명공개 문제의 해결
6. 과잉금지원칙심사-법익의 비례성-타 법제도에 대한 간접적 폐해
7. 본질적인 내용의 침해-사상의 자유시장의 붕괴
8. 외국의 입법례
9.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신(Kyung Sin Park). (2010).진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처벌제도의 위헌성. 세계헌법연구, 16 (4), 35-70

MLA

박경신(Kyung Sin Park). "진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처벌제도의 위헌성." 세계헌법연구, 16.4(2010): 35-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