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지성의 특성 및 기제와 교육적 시사점의 탐색

이용수 1012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양미경(Yang, Mikyeong)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8집 제4호, 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여러 개인들 간의 협력적 상호작용과 성찰을 통해 개별적인 작업으로는 얻기 힘든 시너지를 창출하는‘집단지성’의 아이디어는 최근 컴퓨터 통신체계의 발달과 함께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런데 집단지성에 대한 대부분의 논의가 웹망의 확산을 통한 사이버공간에서의 협력 양상에 경도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집단지성의 의미와 조건에 대한 정교한 논의를 생략하거나 그 가능성을 무조건적으로 확대시키는 등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집단지성의 의미를 명료화하고,‘정보의 교류나 공유’,‘집단 의사결정’,‘집단적 협업’등의 유사개념과의 차별화를 통해 그 특성을 구체화하였다.아울러 집단지성의 형성 조건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집단지성의 작동기제 및 애로를‘차이를 전제한 공유’,‘경쟁과 협력의 딜레마’,‘독자성 및 구조성 추구와의 갈등’등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끝으로, 집단지성을 둘러싼 담론이 지닌 교육적 의의와 시사점을‘지식의 성격에 대한 관점의 전환’,‘교육적 관계에 대한 재조명’, 그리고‘교육 내재동기의 발현’등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distinctive features, conditions and working mechanism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Advances in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the collapse of objectivism have greatly expanded the importance and virtue of collective intelligence. During the last few years, the number of references to collective intelligence has increased in a startling fashion. However, the concept of collective intelligence has often been confused with other notions, such as 'exchange and sharing of informations', 'group decision-making', and 'mass collaboration'. So, this study aims to try and clarify the peculiarity of collective intelligence, comparing it with those concepts. In relation to that, several required conditions and working mechanisms for the genuine collective intelligence are also identified. Traditional school systems do not fit easily into the idea of collective intelligence because schooling is deeply intertwined with the project of modernity.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is conceived as the external facts imposed upon learners. These learners are considered receptive, the learning process is supposed to be cumulative. Contrary to this, the idea of collective intelligence is based upon the alternative premise that knowledge is not a static object acquired by atomic individuals but one that is actively constructed through ongoing social exchanges and collaborations, embedded in social networks. In addition, an endogenous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 which is compatible with this new perspective of knowledge is suggested. Fi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focused on 'the nature of knowledge',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relationships', and 'the intrinsic values of education' are discussed.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집단지성의 의미와 특성
Ⅲ. 집단지성의 형성 조건 및 기제
Ⅳ. 집단지성 논의의 교육적 의의와 시사점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미경(Yang, Mikyeong). (2010).집단지성의 특성 및 기제와 교육적 시사점의 탐색. 열린교육연구, 18 (4), 1-30

MLA

양미경(Yang, Mikyeong). "집단지성의 특성 및 기제와 교육적 시사점의 탐색." 열린교육연구, 18.4(2010): 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