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과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FSA 반응특성 연구

이용수 157

영문명
The study on how FSA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differ by the gender and grade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순란(Kim, Soon-Ran)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2호, 153~18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4,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FSA(Face Stimulus Assessment) 반응 특성을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FSA가 장애아동의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보조적 진단도구로서 타당한 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S군 소재 1개 초등학교 전교생 92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FSA 반응특성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성별로는 그림 1과 그림 2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점수가 높았고, 학년별로는 도판 1은 중(3-4학년)․고학년(5-6학년)이 저학년(1-2학년)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도판 2에서는 고학년(5-6학년)이 저학년(1-2학년)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FSA는 장애아동의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보조적 진단도구로서 유용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FSA라는 새로운 투사적 그림검사를 특수교육분야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비장애아동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FSA 반응특성을 살펴 향후 장애아동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보조적 진단도구로써 FSA의 타당성을 확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SA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comparative analysis of FSA (Face Stimulus Analysis)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grade, so as to provide a foundation about if FSA would be an appropriate diagnostic assessment for measurement of cognitive ability of students with disor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921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 count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SA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grade. Fe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 than male students on both figure 1 and 2 when scored according to gender, and when it is scored according to grade, the upper and middle graders (third to sixth graders) had higher score than the lower graders (first and second graders) on figure 1. On figure 2, the upper graders (fifth and sixth graders) scored higher than the lower graders (first and second graders). Therefore, it may be assumed that the FSA has the usefulness as an accessorial diagnostic assessment for measurement of cognitive ability of students with disorder.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d a foundation to establish validity of FSA as an accessorial diagnostic assessment for measuring the cognitive ability of students with disorder by introducing this new projective drawings test to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by studying the FSA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non-disabled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grade. To establis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SA,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from various aspec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순란(Kim, Soon-Ran). (2010).성과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FSA 반응특성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5 (2), 153-180

MLA

김순란(Kim, Soon-Ran). "성과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FSA 반응특성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5.2(2010): 153-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