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山水)

이용수 809

영문명
Nature, the Educational Space of Hwarangdo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황금중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4권 제2호, 171~19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7.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화랑도 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자연이 지니는 교육공간으로서의 성격과 의미에 대해 논했다. 화랑도 교육은, 여타의 교육이 주로 건축공간을 기반으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과는 달리, 자연을 핵심의 교육공간으로 삼았다. 자연이라는 교육공간을 요청한 화랑도의 사상적 구심점은, 신라시대에 불교와 더불어 양대 산맥을 이루었던 사상 조류로서의 선도(仙道)였다. 선도(仙徒)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는 화랑도(花郞徒)에게서 선도적 가치를 실현하는 가장 유력한 방법은 각지의 산수(山水)를 순유하며, 그리고 산수를 낀 삶의 터전을 살펴보며 수행하는 방법-여기에는 관찰과 사색과 체험과 독서와 수련이 포함-이었다. 화랑도는 멀다하여 가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두루 유오하며 활용했는데, 현재 사료를 통해 확인되는 화랑도 유오지는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의 남산, 그리고 강원도에서 경상도에 이르는 해안가에 위치한 총석정, 삼일포, 영랑호, 경포대, 한송정, 천전리 암각화 현장과 같은 승지이다. 교육공간으로서 자연이 중시되는 화랑도의 교육 전통은 고려시대는 물론이고 조선시대의 성리학적 교육의 맥을 타고 면면히 이어졌다. 화랑도 교육으로부터 시작해서 줄곧 자연이라는 교육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온 한국 교육의 역사는, 자연의 요소가 새롭게 강조되는 현대의 교육 현실에서 반추의 여지가 크다.

영문 초록

In the practice of hwarangdo education, the nature(mountain and water) was especially emphasized and commonly used as a educational space, while the other common educational models were established with basis on the special architectural space for education. The philosophical base of hwarangdo education that requested the nature as educational space was sundo, the one axis of the world of thought in Silla dynasty, running parallel with buddhism. Hwarangdo, educational group that pursued the values of sundo, regarded the tour and study in or around the all places of the whole country as the best method of self-cultivation or self- education. We can know the main places(or nature) that hwarangdo enjoyed for their tour and study through historical resources, for example, namsan, chongseokjung, samilpo, youngrangho, gyoungpodae, hansongjung, bangudae, etc. The educational viewpoint of hwarangdo that focused on the nature as educational space, was connected to the educational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The korean history of education that have regarded the nature as core educational space since hwarangdo education, request us to re-establish the authority of the nature in modern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 ‘자연(自然)’이라는 교육공간과 화랑도 전통
Ⅱ. 자연을 요청한 화랑도 교육의 정신, ‘선도(仙道)’
Ⅲ. 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山水)
Ⅳ. 화랑도 교육공간관의 역사적 전승
Ⅴ. 다시 부활할 교육공간, ‘자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금중. (2010).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山水). 교육사상연구, 24 (2), 171-197

MLA

황금중. "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山水)." 교육사상연구, 24.2(2010): 171-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