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물관 전시와 사회적 맥락의 함의관계

이용수 192

영문명
Connotation of Museum Exhibition and Social Contexts - by the Signified-Analysis of the Five Blessings-Symbol Wood Crafts in Joseon Period -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엄소연(Eom, So-Yeon)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0집 2권,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박물관 전시가 사회적 맥락과의 함의관계에 의해서, 전시품의 주류인 공예품의 ‘원(原)맥락’이 ‘탈맥락화’되는 양상에 주목하고, 그 전시분석의 전제로 공예품의 기의적 성격을 분석하여 ‘원맥락’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기의분석 방법은 공예품이 역사적․사회적․문화적 산물로서 기능적․미적․상징적 형식이 상관성을 갖는다는 측면과 아울러, 공예품의 무늬가 집단적․공유적 상징의미를 시각화한 ‘기호’로서 기표와 기의의 함의관계로 검토될 수 있다는측면에서 적용한 것이다.조선시대의 목칠공예품은 당대에 한 전형을 이룬 미술사적 가치가 있으며 무늬에 나타난 오복(五福)상징은 당시의 시대의식과 결부된 ‘집단적 이미지’로서 사회적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목칠공예품의 오복상징 무늬가 기표라고 한다면, 그 상징의미는 사회적 맥락이 투영된기의와 함의관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 및 방법으로 먼저 조선시대 오복상징 공예품의 기의적 성격을 파악하였고 오복상징 목칠공예품의 유형과 그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조선시대의 오복상징 공예품은기물․기법․재질․유형 등이 조선후기의 사회구조적 변동 상황과 결부된 기의적 성격을 내포하였다. 즉 지배층의 길상(吉祥)풍속을 바탕으로 한 ‘수복강녕부귀다남자(壽福康寧富貴多男子)’의오복상징은 사회질서의 구축을 위한 종법제도(宗法制度)와 관련된 과거급제․입신양명의 ‘귀’와 그 담당자인 ‘다남자’의 중시를 또한, 사회경제구조의 변화에 따른 ‘부’의 강조를 반영하였다. 이러한 길상적 오복상징은 당시의 사회경제적․문화적 실체로 부상한 신흥집단의 집단의식과 호기복(豪奢祈福) 취향을 함축하였다. 특히 이들은 오복상징 목칠공예품의 주요 수요층으로 그들의정서와 길상적․기복적 염원을 투영하여 상품화-특산화-고가화된 화려하고 “이질적”인 특성에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기표적 특성과 기의의 함의관계에 의해서, 조선시대의 오복상징 목칠공예품은 목․나전칠․화각장․죽․초물공예별로 각각 글자[吉祥語]․동물․식물․산수경(山水景)․기타의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오복상징 목칠공예품이 보유한 ‘원맥락’의 기의적 배경을 규명하여 향후 그 전시분석을 위한 의미분석이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영문 초록

On the piont of view of connotation of museum exhibition and social contexts, this thesis is focused on decontextualizationof origin-contextsof crafts when it exhibit mainly, and study its origin-contexts with analysis the signified-character, on the presupposition that analysis the exhibition. This signified-analysis method is applicable to two sides : one side is crafts, that is histori c․social․ cultural products,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functional․aesthetic․symbolic form, the other side its pattern capable of examine by implied-relation of signifier and signified as a signwhich expresses visually collective․common meaning. Wood crafts in Joseon period is a type on the art-historical value, and the Five Blessings-symbol pattern implies social meaning consideredcollective imagein relation to the conscious of the times. Therefore, the Five Blessings-symbol pattern of wood crafts is a signifier, then the meaning shows signified-connotation which is reflected social contexts. According to this purpose and method, the second chapter examined the signified character of the Five Blessings-symbol crafts in Joseon period, and the third chapter considered the types and its significance of the Five Blessings-symbol wood crafts. As a result, it implied the longevity, the happiness, the well-being, the wealth, the nobility, and many boys, which was based on collective conscious and luxuryloving-good auspices trends of newly-risen classes who were socio-economic, cultural beings in late Joseon period. Especially, they had effect their emotion and good auspices-desire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Five Blessings-symbol wood crafts, that was splendor andheterogeneity, as main consumer of it. Through this relation of signifer-characteristic and signified-connotation, the Five Blessings-symbol wood crafts classified five types such as a written, animal, plant, landscape, and so on.

목차

Ⅰ. 서론
Ⅱ. 조선시대 오복상징 공예품의 기의적 성격
Ⅲ. 오복상징 목칠공예품의 유형과 그 의미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소연(Eom, So-Yeon). (2007).박물관 전시와 사회적 맥락의 함의관계. 조형디자인연구, 10 (2), 1-14

MLA

엄소연(Eom, So-Yeon). "박물관 전시와 사회적 맥락의 함의관계." 조형디자인연구, 10.2(2007):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