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한제국 홍릉 침전 내부의 공예품 연구

이용수 478

영문명
Research into the Craft-works Put in the Ritual Building in Front of the Tomb of the Emperor Gojong during the Greater Korean Empire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장경희(Jang, Kyung-hee)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3집 2권, 8~29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홍릉은 고종황제가 대한제국의 황제릉으로 조성한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무덤이다. 대한제국의 홍릉은 조선시대의 왕릉과는 여러 모로 다르다. 특히 의식을 거행하는 침전은 일(一)자 형태로 세워, 조선시대에 정(丁)자 형태로 세운 정자각과 달라졌다. 또 건물 내부에는 궁궐과 마찬가지로 화려한 단청으로 꾸민 당가(唐家)를 세웠다. 그러나 세워진지 100년이 지난 현재, 홍릉의 침전과 내부 시설은 원래의 모습을 알 수 없을 정도로 훼손되어 있는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한제국 유일의 황제릉인 홍릉을 원형대로 복원하려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작 당시 시말을 기록한『 홍릉산릉도감의궤』를 비롯한 각종 관․사찬 기록과 현존하는 유물을 꼼꼼하게 살폈으며, 그 결과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 내부는 신성한 의식 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 즉 내부 벽은 3겹으로 도배를 하고, 바닥에는 2중으로 왕골 돗자리를 깔며, 문에는 대나무 발[朱簾]을 걸어야 한다. 둘째,당가는 통치자의 존엄성을 드러내는 의물이다. 즉 다섯 개의 산봉우리를 그린 장지문을 세벽에 둘러 세우고, 용무늬를 조각한 신어평상과 용무늬를 조각한 삽병을 배치하되 자리와욕석을 2중으로 깔아야 한다. 그런 다음, 당가 앞면에는 휘장을 둘러야 한다. 이처럼 건물내부의 원형이 원래대로 복원된다면, 홍릉은 황제릉으로서 그 면모가 일신될 것이다. 이를통하여 비록 20여년의 짧은 시간밖에 존속하지 못했던 대한제국의 영광이 되살아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Royal Tombs called Hongreung[洪陵] are the graves of Emperor Gojong and Empress Myeongseong. The tombs reflect the intent of Emperor Gojong and are different in many ways from other royal tombs constr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一”-shaped building[寢殿] in front of the tombs, where a secrificial rites were performed, is different from others of such a“ T”-shaped building[丁字閣] in the Joseon Dynasty. Moreover, in the building as in a royal palace, there is a canopy[唐家] which is decorated with splendid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s. However, today 100 years after its construction, the ritual building and the facilities in it are so terribly damaged that their original form cannot be identified. In this regard, this thesis aims to help restore Hongreung, which are the only imperial tombs built during the Greater Korean Empire. To do that, comparison was carefully made between the relevant records written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and the extant remains and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First,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was intended to be used as a sacred place for ceremonies. In other words, the interior walls were triple papered, a double bulrush mat was laid on the floor, and a beaded bamboo screen was hung over the door. Second, the canopy was purposed to demonstrate the dignity of the ruler. That is, a paper sliding door patterned with five mountaintops stood by the three walls and a chair patterned with dragon-shaped carvings and a folding screen patterned with dragon-shaped carvings were arranged before the door. Then, a curtain was placed between the pillars. If such a prototype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s restored, Royal Tombs called Hongreung will be renewed as an imperial tomb. It is the present author's wish that the glory of the Greater Korean Empire, which was termina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Emperor Gojong had dreamed of, could be also restored.

목차

Ⅰ. 머리말
Ⅱ. 청량리 홍릉 침전 내부의 도배와 자리의 설치
Ⅲ. 당가의 설치와 내부 공예품 조성
Ⅳ. 금곡 홍릉 침전 내부의 원형 복원 문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경희(Jang, Kyung-hee). (2010).대한제국 홍릉 침전 내부의 공예품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3 (2), 8-29

MLA

장경희(Jang, Kyung-hee). "대한제국 홍릉 침전 내부의 공예품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3.2(2010): 8-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