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식 염색무늬목을 이용한 가구의 표면장식 디자인 개발연구

이용수 134

영문명
A Study on Development of Ornamental Furniture Using Dry-Dyeing-Patterned Wood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김정필(Kim, Jung-pil)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3집 2권, 50~69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산업사회로 들어서며 대량생산되는 목제품의 수급을 위하여 무분별한 목재의 남획은 지구의 균형을 파괴하고 이로 인하여 목재의 고갈과 이상기후를 가져옴으로서 더 이상의 계획 없는 남벌은 규제를 받게 되었다. 때문에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가구 재료로 금속이나 플라스틱, 석재, 패브릭 (fabric) 등으로 대치하거나 응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목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인간 친화미(親和美)는 다른 재료가대신하기 어렵다. 이런 상황 하에서 과거 원목(原木) 위주의 가구 재료를 합판이나 집성목, MDF 등으로 목재가공을 개발하여 보충 하고 있으나 가공목재는 기존 가구에 사용하던 원목보다 재질이나 색감, 경도(硬度) 면에서 떨어지고 있다. 이렇게 떨어지는 미감(美感)을 보완하기 위하여 습식무늬목을 접착하여 표면의 질감과 색을 원목과 같은 느낌이 나도록 하였지만 습식무늬목은 내구성이 약하여 수명이 길지 않았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건식무늬목을 개발하였으며 이번 논문에서는 건식 무늬목을 사용하여 가구의 장식적인 효과와 내구성을 보강하였다. 건식 염색 무늬목을 이용하기 위해서 표면이 평활한 MDF를 사용하였는데 접착과정이 습식 무늬목과는 달리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접착과 우레탄(urethane paint)도장이 필요하였고 이것은 수작업(手作業)으로 가능하지가 않아 설비를 갖춘 공장에서 협조를 받아 제작 하였다. 더 나아가 단순한 원목무늬목을 접착한 것이 아니라 한국 전통 문양을 이용한 패턴디자인을 하여 레이저로 문양을 작업하고 인테리어에 조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패턴이란 제작지역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요소이므로, 원목의 가공으로 형태에서 지역을 나타내던 방식과는 또 다르게 가구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서 활용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과거 전통가구의 제작은 가내공업의 수작업으로 일관하였으나 현재 가구 제작공정은 각 공정마다의 특별한 기술을 적용함으로서 보다 차원 높은 결과를 달성할 수 있음으로 무리한 단일 공정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각 공정을 전문화 하여 여러 가지 재료와 기술이 그리고 디자인을 협업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영문 초록

With growing demand of wooden products in our industrialized society, insensible use of wood destroyed the balance of the earth, depleted wood and caused abnormal weather conditions, which resulted in development of regulations against reckless deforestation. Therefore, metal, plastic, stone or fabric have replaced wood for materials of furniture, but friendly feeling wood gives can not be replaced by other materials. Under this circumstance, veneer, laminated boards, and MDF supplement it as materials for furniture, But artificial wood is lower in quality of color and hardness than hardwood. To complement low aesthetic sense, wet patterned wood was attached to represent the same texture and colors as those of hard wood, but it did not last long due to weak durability. Dry patterned wood was developed to compensate the weakness, and this study used it to strengthen the decorative effect and durability of furniture. In this study, MDF whose surface is broad was used to apply dry-type dyed wood. As its attaching process needs attachment through thermoset resin and urethane paint as not for wet patterned wood, and it can not be processed manually, it was made in a factory with facilities of the process. Furthermor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were designed for this process and were represented with lasers for harmony with interiors. As patterns can represent local features of the local area, they can be an important element to be used for furniture industry. In conclusion, traditional furniture was consistently manually made but modern process of furniture making can accomplish higher quality using specific techniques for each proces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 diversity of materials and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professional processes and cooperation for design rather than a single process is pursued.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필(Kim, Jung-pil). (2010).건식 염색무늬목을 이용한 가구의 표면장식 디자인 개발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3 (2), 50-69

MLA

김정필(Kim, Jung-pil). "건식 염색무늬목을 이용한 가구의 표면장식 디자인 개발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3.2(2010): 50-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