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교과의 접근방식과 내용체계 사이의 관계

이용수 246

영문명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odes of Approach and Classes of Contents in ‘Pleasant Life’ as Integrated Subjects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박채형(Park Chae-Hyeong)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4권 제1호, 95~11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통합교과는 제4차 교육과정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네 차례의 개정을 거쳤다. 본 연구는 통합교과가 이러한 네 차례의 개정을 거치는 동안에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를 겪었는가를 그 접근방식과 내용체계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사실상, 제7차 교육과정 이전의 통합교과는 그 접근방식과 내용체계 면에서 모두 분과적 색체를 띠고 있었다. 그리고 제7차 교육과정의 통합교과는 과도기적으로 탈교과적 접근방식에 분과적 내용체계를 결합시킨 형태를 띠고 있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그러한 접근방식과 내용체계 사이의 부조화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 이어받은 탈교과적 접근방식을 심리-사회적 접근으로 개칭하면서 그것에 일관된 주제중심의 내용체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통합교과의 교육내용은 아무리 정교하게 체계화한다고 하더라도 탈교과적 접근 혹은 심리-사회적 접근방식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는 없다. 이들 양자의 일치는 오직 즐거운 생활을 위시하여 통합교과를 가르치는 교사의 노력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odes of approach and classes of contents in ‘Pleasant Life’ as integrated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It was in the 4th revised curriculum that integrated subjects were introduced to Korea for the first time. After that time, integrated subjects have been revised 4 times up to now. The several revisions were understood with modes of approach and classes of contents as pivot concepts. With these concepts, the 7th revised curriculum made divergent points. In previous accounts integrated subjects had appearances of departmental subjects at least in modes of approach and classes of contents. In the 7th revised curriculum, integrated subjects were approached in a trans-disciplinary way, but classes of contents were compiled in departmental methods as before. Integrated subject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as developed to get over the asymmetry between modes of approach and classes of contents. However, the aim of the integrated subjects is to integrate the classes of contents in the students’ mind. Of course, the external prescription can not ensure the realization of the aim. To achieve this aim, students must anticipate in schooling. So, the idea of integrated subjects is not to make integrated subjects in advance, but to teach the subjects in relationship to it.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정 시기별 통합교과의 접근방식
Ⅲ. 교육과정 시기별 통합교과의 내용체계
Ⅳ. 통합교과의 접근방식과 내용체계의 관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채형(Park Chae-Hyeong). (2010).통합교과의 접근방식과 내용체계 사이의 관계. 교육사상연구, 24 (1), 95-115

MLA

박채형(Park Chae-Hyeong). "통합교과의 접근방식과 내용체계 사이의 관계." 교육사상연구, 24.1(2010): 95-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