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교육문제의 역사적ㆍ인식론적 탐구

이용수 2667

영문명
A Historical and Epistemological Study of Korean Education Problem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박의수(Park, Eui-Soo)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35輯, 43~6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1.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교육문제를 역사적․인식론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우리 교육이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의 근원과 본질이 무엇인가를 밝히는데 있다. 인식론적 관점이란 인간형성의 핵심을 이루는 교육의 내용 즉, 어떤 지식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느냐, 그리고 그것이 삶과 어떻게 연관되느냐 하는 것을 중심 과제로 삼자는 것이다. 교과를 구성하는 지식의 성격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지식의 유형과 현대의 개념들 즉, 권위적 지식, 규범적 지식,경험적 지식, 합리적 지식, 형식지와 암묵지, 방법적 지식, 과정적 지식 등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또한 교과 지식의 성격과 교육방법 및 인식과 실천의 관계 혹은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원시 및 고대, 유교적 전통사회, 개화기, 광복 이후의 시기로 구분해 보았다.연구 결과 원시와 고대의 교육은 주로 암묵적 지식에 의존했고 앎과 삶, 교육과 생활이 하나로 통합되었으며, 유교적 전통교육의 기본 교과는 규범적․권위적 지식으로 인식과 실천, 지와 행이 통합되고 조화된 전일적 인격 형성을 이상으로 추구했으나, 과거제도가 정착되면서 인식과 실천이 유리되었다. 서구의 합리적․경험적 교과가 유입되는 개화기에는 서구적 근대교육과 유교적 전통 교육이 병행되는 과도기였으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전통교육은 급격히 사라지게 되었다. 해방 후 서구의 과학적 교과가 도입되었으나 유교적 규범적 교과를 교육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교육이 진행되었고, 시험위주의 교육이 확산되면서 합리적․경험적 지식조차도 교육현장에서는 권위적 지식으로 둔갑하여 인식과 실천의 괴리는 더욱 심화되었다. 또한 지식교육과 인성교육의 분리는 인성교육은 물론 지식교육의 부실을 가져왔다. 이는 결국 교육력의 약화를 초래하여 지식사회의 교육 경쟁을 약화시키는 근본적 원인으로 귀결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ssential problems of Korean contemporary education. In order to that it took a historical and epistemological approach to Korean education problems. Epistemological approach means to study about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how to teach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subjects of curriculum, it took the traditional types of knowledge and some modern concepts of knowledge. And in order to historical approach, the historical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result of study shows the following; ①primitive education depended on tacit knowledge and education integrated with knowledge and knowing, and living was united. ②Confucian education period was depended on normative․authoritative knowledge and the integration of knowing and living was important but according to establishment of recruit system with examination they were separated. ③The third period was transitional period. ④After liberation the education depended on rational․empirical knowledge but it was accepted as authoritative knowledge in the Korean classroom. The result of study found that knowing and living were originally one thing but they have divided into two and moreover knowledge education was separated from character education. So not only the knowledge education couldn't help the character education but also the knowledge education itself became ineffective and fruitless.

목차

Ⅰ. 서론
Ⅱ. 교육 내용과 방법의 변천
Ⅲ. 한국교육 문제의 본질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의수(Park, Eui-Soo). (2009).한국 교육문제의 역사적ㆍ인식론적 탐구. 교육문제연구, 35 , 43-62

MLA

박의수(Park, Eui-Soo). "한국 교육문제의 역사적ㆍ인식론적 탐구." 교육문제연구, 35.(2009): 4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