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르비아어의 소복수형(paucal)과 수량소유격 연구
이용수 29
- 영문명
- A Study on Paucal and Quantitative Genitive in the Serbian Language
- 발행기관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저자명
- Predrag Piper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3권 제1호, 35~4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main subject of this work is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features and grammatical status of the nominal and adjectival forms expressing non-singularity in the constructions with the number '2', '3', '4'. These forms have been most frequently called genitive (historically - nominative dual) by traditional Serbian grammar while, outside Serbian linguistics, also called paucal or little plural among others. The present work provides the arguments that the forms in question are those of a separate grammatical status, which in turn can justify the validity of being named paucal. In connection to this, the author also examines the status of the quantitative genitive plural, functionally similar to the neuter paucal, and of syntactic constructions with the quantificator pola.
목차
1. 세르비아어는 다른 슬라브어와 마찬가지로 비단수(非單數, nejedi- ničnost), 즉 하나보다 큰 수량을 여러 가지 수단으로 표현한다
2. 복수 비단수를 표현하는 명사구의 일치는 몇몇 단순한 규칙에 의해 결정된다
3. 복수 비단수의 의미를 가진 명사구의 격지배 문제는 특히 ‘1’보다 큰 기수사를 포함하고 있는 구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4. 비록 소복수형이 형태적인 면에서는 단수소유격형과 비슷할지라도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유 때문에 소유격형으로 취급할 수 없다
5. 세르비아어에 소복수형(역사적인 관점에 본다면 과거에 광범위하게 쓰였던 쌍수형)을 수사의 개별적인 주격형으로 인정한다면 기존에 존재했문법적 설명의 어려움들이 사라지게 된다
6. 세르비아어는 소복수 수사가 아닌 수사들과 대명사적 수사들(예: koliko, nekoliko,mnogo)이 포함된 명사구에서 복수성을 표현하는 수량소유격을 가지고 있다.
7. 세르비아어에서 소복수형의 지위를 규정하는 일반적이 규칙이외에도 형식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소복수형과 유사한 수량적 의미의 명사구가 존재한다.
8. 세르비아어는 전치사구문에서는 주격형을 쓰지 못한다는 일반적인 규칙을 가지고 있지만, 분배의 의미를 가진 전치사 po ‘∼씩’을 포함하는 명사구에서는 주어의 의미를 가진 기수사와 명사를 주격형으로 쓸 수 있다.
9. 만약 분수사 구문(razlomačka konstrukcija)에서 수사 성분이 dve, tri, četiri일 때는 (또는 dvadeset dve trećine와 같이 끝 단위가 이 수사들로 이루어진 복합수사일 때는) 수명사는 소복수형(-a로 끝나는 여성명사 복수주격형과 동일한)을 가진다.
10. pola가 포함된 분수사 구문은 특별한 유형에 속한다(Ivić 1995: 132ff). 일반 분수명사들 은 여성형이며 격변화를 하는 형태로서 단수 소유격으로 쓰인 명사들을 종속성분으로 요구한다
참 고 문 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체돈스키(Macedonski)의 론델(Rondelul)과 미눌레스쿠(Minulescu)의 로망스(Romanţa)비교연구
- 세르비아어의 소복수형(paucal)과 수량소유격 연구
- 에우젠 이오네스쿠(Eugen Ionescu; 1912-94), 루마니아에서의 문학 활동 및 작품 연구
- 헝가리 포스트 모더니즘의 모범
- 1956년 헝가리 혁명에 대한 일 고찰
- 유고와 한국구비설화에 나타난 등장인물 비교분석
-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태조사 및 지원 방안 연구
- 루마니아어의 라틴어적 특징: 어휘를 중심으로
- 한국전쟁에서 유고슬라비아의 역할과 그 의미 (1)
- M. M. 바흐찐과 러시아 상징주의․아끄메이즘 시학
- 헝가리 민족문제의 기원과 양상
- 체코의 종교와 종교문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