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미국의 유연근무제도 비교 및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06

영문명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in Korea and the U.S.
발행기관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저자명
유계숙(Gye Sook Yoo) 한지숙(Ji Sook Han) 오아림(Ah Rim Oh)
간행물 정보
『창조와 혁신』제2권 제2호, 105~14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한국과 미국의 유연근무제도 도입배경 및 현황, 제도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국내의 유연근무제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미국과 한국 모두 유연근무제도에 대해 높은 요구도를 보이는데 반해 제도 시행율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은 한국에 비해 유연근무제도의 유형이 좀 더 다양하고, 비교적 단기간에 유연근무제도의 도입비율을 증가시킨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한국은 저출산 문제해결과 국가 경쟁력을 위한 여성인력 활용 방안의 일환으로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우수인력 확보 뿐 아니라 고령화하는 노동인구의 적극적인 요구에 부응하여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한국과 미국 모두 제도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정부차원의 법제화가 지속되고 있으나, 한국은 아직 기업의 유연근무제도 도입율이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반면, 미국은 법제화 외에도 정부차원에서‘Flex-Option Projects’를 개발·배포하여 기업이 유연근무제도를 성공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유연근무제도 활성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향후 한국에서도 유연근무제도를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유연근무제도의 성과 및 도입성공사례에 관련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를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업주나 경영자, 인사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범정부적인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연근무 관련 프로그램이나 사업 등을 홍보하고 교육하여 기업들의 자발적인 제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es policies and practice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reviewing existing research and laws, we compare the grounds for adoption and status of policies and programs of workplace flexibility by governments and employers in both countries. The background of introducing policies for workplace flexibility in Korea is not only to support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but also to react to the extremely low birth rate by the Korean government. Despite the increasing demands of employees for flexible work arrangements, there has been less than 10% of implementation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in Korean companies. On the contrary, flexible work arrangements are viewed as desirable by not just women and employed mothers but the entire workforce.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flexibility in the US companies has increased from 68% to 79% in spite of economic instability in the past ten yea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national studies, the US employers can benefit from flexible work arrangements, having more engaged employees, higher retention and potentially lower care costs. The nationwide initiatives on workplace flexibility such as 'Flex-Options Guide' and 'When Work Works' by the US government and several nonprofit research institutes are designed to disseminate research results, best cases, and guidelines on flexible work arrangements in the U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workplace flexibility as strategies to enhance businesses'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global economy, and to help both employers and employees succeed. This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olicies and practice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in the futu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계숙(Gye Sook Yoo),한지숙(Ji Sook Han),오아림(Ah Rim Oh). (2009).한국과 미국의 유연근무제도 비교 및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창조와 혁신, 2 (2), 105-142

MLA

유계숙(Gye Sook Yoo),한지숙(Ji Sook Han),오아림(Ah Rim Oh). "한국과 미국의 유연근무제도 비교 및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창조와 혁신, 2.2(2009): 105-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