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량원소(Ba, Sr, Zn) 분석법을 이용한 연대도 유적 출토 인골에 대한 고식생활 연구

이용수 346

영문명
Dietary Reconstruction through Trace Element(Ba, Sr, Zn) Analysis of Human Bones from the Neolithic Yondae – do Sit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안덕임(An, Deogim)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66호, 5~2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연대도 유적에서 발견된 인골(성인 남자 2명, 성인 여자 1명)에 대한 미량원소 분석을 통하여 당시 식생활, 거주양상, 패총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고식생활 지표성분인 Ba/Ca비는 0.966×10– 3, 1.025×10– 3, 1.079×10– 3의 비교적 높은 값을 보이며, Sr/Ca비의 경우에도 모두 2.369~2.464 범위의 상당히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Sr과 Ba 농도가 높아 채식 비중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나 단백질 지표인 Zn 농도 역시 195~280ppm으로 높기 때문에 순 채식위주의 식생활은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Zn 농도가 높은 것은 해산자원 특히 어패류의 영향이 큰 것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연대도 사람들의 식생활은 식물성 식료를 기반으로 하고 여기에 어패류의 비중도 상당히 높았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시료의 미량원소 농도는 매우 좁은 분포를 나타내어 지리적 환경이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이동 혹은 이주등은 가능성이 낮아 보이며, 남녀의 성별에 따른 식생활 차이도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Zn 기준 영양 상태도 양호한 편이다. 고고학적 자료 및 미량원소 자료로 미루어 연대도 패총은 해산자원의 획득을 위해 장기간 점유된 근거지유형의 유적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race elements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examine the diet, pattern of occupation and function of the site, using human bone samples(2 male and 1 female) from the neolithic Yondae– do shell midden. As a result, the ratios of Ba/Ca and Sr/Ca as palaeodietary indicators range from 0.966×10– 3 to 1.079×10– 3 and from 2.369×10– 3 to 2.464 ×10– 3 respectively. The Sr and Ba values are relatively high, possibly suggesting a plant– based diet. However, the high concentration of Zn(195– 280ppm) as a protein indicator proves the relevant consumption of zinc– rich marine resources, especially fish and shellfish. Therefore, the neolithic people might be reliant on plant resources with a relevant consumption of marine resources mainly from fish and shellfish. Meanwhile, the narrow range of the trace element values of the samples represents that they might belong to a same geographic origin, and that there might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 between sexes. On the basis of the high levels of Zn, it can be inferred that a nutritional condition was good and sufficient. It is likely that the shell midden was related to a base camp occupied for a considerably long period of time to exploit marine resources, based on the archaeological and trace element data.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뼈의 미량원소 분석을 이용한 고식생활 연구
Ⅲ. 연대도 유적 출토 인골에 대한 미량원소 분석
Ⅳ. 고찰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덕임(An, Deogim). (2009).미량원소(Ba, Sr, Zn) 분석법을 이용한 연대도 유적 출토 인골에 대한 고식생활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66), 5-26

MLA

안덕임(An, Deogim). "미량원소(Ba, Sr, Zn) 분석법을 이용한 연대도 유적 출토 인골에 대한 고식생활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66(2009): 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