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해안지역 중기 즐문토기사회의 동향

이용수 429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Middle Neolithic Societies in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하인수(Ha, InSoo)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66호, 27~4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신석기시대 남해안지역에서 간취되는 생업구조와 생산활동, 도구체계의 변화 양상을 통해 중기 신석기사회의 일면과 움직임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수렵·채집이 주요 생업 기반이었던 남해안지역의 사회는 중기를 기점으로 많은 사회·경제적 변화가 일어나는데, 전기 말 무려부터 한반도 남부지역에 유입되기 시작한 조, 기장을 중심으로 하는 잡곡농경이 그 변화의 핵이라고 할 수 있다. 잡곡농경이 기존의 생업구조에 편입됨으로써 나타나는 생계양식의 다변화는 여러 면에서 기존의 질서와 다른 사회·경제적인 변화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기 이후부터 폭발적으로 급증하는 타제석부와 대용량 토기의 출현, 다양한 즐문토기의 기종구성과 소비량의 증가, 조기 이래 견과류를 분쇄하는 갈돌, 갈판의 정형화 등은 이러한 변화 양상을 반영하는 요소로 생각된다. 특히 잡곡재배는 기존의 생업 시스템에서 얻지 못하는 또 다른 형태의 식량자원과 잉여생산물을 확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중기 즐문토기문화의 발전에 원동력을 제공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기 사회에는 주변의 소규모 집단을 아우르는 중심 집단 내지 거점집단이 지역마다 존재하고, 이들은 특정물품을 생산, 유통시키면서 사회·경제적으로 주변 집단을 리드하는 역할과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범방유적의 외래계 마제석부와 동삼동패총의 조개팔찌를 생산과 유통의 관점에서 본다면 중기 사회에는 특정물품(특산품)을 전업적으로 대량생산하여 공급하는 집단의 존재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middle Neolithic society through the changes in the economic structure, production activities, and tool system in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Groups in these areas, whose subsistence primarily consisted of fishing and gathering,underwent many socio– economic changes in the mid– Neolithic. One major change was millet farming, which was introduced to the southern areas of the peninsula from the end of the early Neolithic. It has been speculated that various changes in the economy since the beginning of cereal agriculture would cause distinct socio– economic changes. Some of these changes were the appearance of detached stone axesin increasing numbers, large capacity pottery beginning in the mid period, stylistic changes in Jeulmun pottery, an increase in consumption, and the standardization of grinding stones from the early Neolithic, used in pulverizing nuts. Specifically, the exploitation of various cereals provided an additional resource as well as surplus that had not been possible before. This improved productivity and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mid– Jeulmun pottery culture. Larger groups that surrounded these small– scale societies played a role in influencing the latterby producing and distributing specific products. There was most likely a specialized division of labor that mass produced local products on a full time basis during the mid– Neolithic. This is evident by examining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objects such as the foreign– introducedpolished stone axes from Beombang Remains and shellfish bracelets from Dongsam– dong Shell Moun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중기 즐문토기문화의 성립
Ⅲ. 생업구조와 생산활동
Ⅳ. 도구체계
Ⅴ. 거점취락과 교류(교역)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인수(Ha, InSoo). (2009).남해안지역 중기 즐문토기사회의 동향. 한국상고사학보, (66), 27-44

MLA

하인수(Ha, InSoo). "남해안지역 중기 즐문토기사회의 동향." 한국상고사학보, .66(2009): 27-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