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생 주체의 의미와 포스트모던적 재구성

이용수 203

영문명
The Idea of a Modern Student Subject and Its Reconstruc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박병락(Park, Byung-Rak)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1권 제1호, 83~10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5.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모던적 주체관에 기초한 학생 주체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포스트모던적 입장의 수용을 통해 그 의미의 지평을 확장하고 재구성하는데 있다. 지식과 합리성에 절대적 지위를 부여하는 인식중심주의는 모던적 주체관의 핵심이다. 따라서 학생 주체의 모던적 의미는 합리적인 태도와 지식의 습득을 통해 실재를 올바르게 파악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학생 주체에 관한 관점은 특정한 정상성에 부합하는 일반적인 절차와 규범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특정한 ‘학생관’ 에 벗어나는 모든 것을 배제하는 억압의 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 학생의 정상성을 정의하는 소위 교육과학은 학생 주체의 의미를 구성한다. 과학 담론의 실천 하에서 주체는 객관화되기에 주체의 본질적 자아는 사라진다. 또한 포스트모던적 삶의 조건에서 본질적 자아를 가진 주체는 사라진다. 주체의 동일성보다는 다양한 자아의 충돌에서 주체의 의미를 찾는다. 이때 학생 주체는 자아의 구성적 성격에 주목하고 그 구성에 문화적, 사회적, 역사적 실제를 인정하는 주체다. 현대사회에서 학생은 규범적 질서에 맹목적으로 순응하는 주체, 형식적인 규칙과 사고과정의 무오류에만 고착되어 있는 주체가 아니라, 자신의 행동 규칙을 타자와의 다양한 소통을 통해 만들어 내고, 일리적 태도를 통해 합의를 도출하고, 나아가 창조적 대안을 모색하는 주체의 의미를 지닐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an student subject in terms of postmodernism. Conclusions are as follows. In liberal education based on modernism, an educated subject is a person who has universal value, objective knowledge through rational thinking. He is made up of transcendental, essential, and ahistorical self. As reason is held to be a strict judge and regarded as an absolute standard, education that increases thinking ability is welcomed. In fact, however, a ahistorical subject is impossible. Every subject is constructed by his environment, culture and discourses. A student subject also is constructed in power-knowledge nexus laden in schooling. Educational Psychology and Educational Science works as a important axis in this nexus. As sciences discourses support a self-discipline mechanism that forces a student to testify himself repeatedly whether he corresponds to a certain standard, we can say a student subject is objectified. So, the idea of Cartesian autonomous self is to be abandoned. We already came into the postmodern condition, so we need a new student subject who can adjust to it well. The characteristics of a postmodern student subject are like these. First of all, he is aware that the fact that a subject is constructed by his cultural environment and various discourses does not mean we are determined by them. Second, we need a subject that is faithful to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subject is open in that he is doubtful to accept the present situation as it is and is willing to make up new setting with others, where a student subject is supposed to listen to others, to celebrate a variety of voices, and make a creative alternatives. Third, a postmodern student subject does not stick to a monolithic conception of rationality. Instead, he considers broader conception of reasoning. He tries to be reasonable. That is, he respects for the opinions of those around, listens to others, and is sensitive to cultural difference and divers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병락(Park, Byung-Rak). (2007).학생 주체의 의미와 포스트모던적 재구성. 교육사상연구, 21 (1), 83-100

MLA

박병락(Park, Byung-Rak). "학생 주체의 의미와 포스트모던적 재구성." 교육사상연구, 21.1(2007): 83-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