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성문제와 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 연구
이용수 1503
- 영문명
- A Study on Social Welfare Practice Intervention in Sexual Needs for Disabled People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이상도(Lee, Sang Do) 김대원(Kim, Dae Wo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2권 제3호, 203~22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성문제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사회복지실천 차원에서의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들의 주요 성문제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남성장애인들의 많은 수가 발기부전 및 발기불능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여성장애인의 경우에는 성지식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지적장애나 신체적 부자유, 또는 이동권의 제한 등으로 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이 미흡하여 생식기관의 위생이나 질환 및 임신, 출산, 육아 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지적장애인들의 무분별한 자위행위 및 성태도, 장애인들의 성적표현에 대한 부정적 인식, 외부로부터 성적존재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건강(sexual health)이란, 성과 관련하여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평안한 상태를 뜻한다. 따라서 성건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개인적 요인과 함께 성적억압 등의 환경적 요인을 함께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성적억압에 대한 심리상담 및 성욕조절 훈련 프로그램, 통합적 서비스 프로그램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장애인 및 이동권 제한이 있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성관련 서비스는 물론 의료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생식기관 질병관리 및 약물관리, 성재활 서비스 등 장애유형에 따른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시체계, 중범위체계, 거시체계로 구분하여 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the intervention strategy of social welfare practice of disabled people with sexual problems. This study used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is important to treat the personal factor and the environmental factor together in disabled people's sexual problems and health. Sexual health is a state of physical, emotion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related to sexuality.
Second, the psychological counselling about sexual repression, sexual need control trainning program and integrated program development are important.
Third, the subjects of the case study were 384 adult disabled people in the community(Dea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confirmed composition needs of disabled people with sexual problems. The results include sexual service development for the aged and for disabled people. For example, medical Agency the service which connection reproductive organ disease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and sexual rehabilitation, etc. And specifically it emphasized a concrete and practical service for the disabled people type.
We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 plan of social welfare practice with base also.
목차
논문요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장애인 성문제 및 서비스 관련 사례분석
Ⅳ. 장애인 성문제와 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활복지』 투고 및 심사규정
- 시각장애인들의 골볼 운동이 경쟁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 베이징 패럴림픽에 참가하는 국가대표선수의 영양보조물 섭취형태와 도핑의식 분석
- 성인초기 장애여성의 발달과업과 욕구
- 장애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학업동기요인 간 비교
-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이 시지각 과제의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스티그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척수손상장애인들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장애인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실천현장에서의 성공전략연구
- 직업재활시설의 마케팅을 위한 우선구매제도 적용방안
- 장애인 성문제와 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 연구
- 공공시설 화장실의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 적용실태 조사
- UN 장애인권리협약과 장애인의 시민적 권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 유형별 가구 내 자살생각 군집화 영향요인 분석
- 디지털정보화 접근수준이 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배움터 참여에 따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의 지원의사결정에 대한 좋은 실천은 가능한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