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長興 上芳村 炭火穀物의 經濟的 解釋

이용수 404

영문명
Economic Interpretation of Charred Crop Remains from the Sangbangchon Sit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安承模(Ahn, Sung-Mo)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54호, 81~11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1.0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고고학 연구에서 탄화종자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장흥 상방촌유적에서 출토된 탄화곡물을 사례로 호남지방 마한계 취락에 대한 경제적 해석을 시도하여 보았다. 상방촌의 3~5세기 주거지 107기에서 화재 주거지는 총 28기이며 이중 7기에서 밀, 콩, 팥, 피의 탄화곡물이 확인되었다. 탄화곡물은 대부분 화덕과 반대되는 출입구 쪽 강까이에서 검출되었다. 곡물이 출토된 주거지는 취락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유물의 출토량도 많고 시루와 화덕을 보유하고 있어 생산된 곡물을 저장하고 배분하는 중심적 기능을 상정하였다. 탄화종자는 모두 정선된 낟알이라 수확에서 탈각에 이르는 가공과정은 주거 외부에서 실시한 것으로 추론하였다. 밀은 두류와 피를 수확한 이후에 파종, 즉 秋播의 가능성이 높으나 윤작이나 연작의 실시 여부는 탄화곡물만으로 판단하기는 어렵다. 상방촌에서는 도작의 증거가 전혀 발견되지 않아 밭작물 중심의 농업경제로 생각된다. 전라남도의 다른 마한계 취락도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호남지방 마한계 유적에서 보고된 탄화곡물은 전라북도는 벼와 팥, 전라남도는 맥류(밀 중심)와 콩·팥이 주류를 이룬다. 따라서 특히 전라남도의 마한계 취락은 벼농사보다 밭농사 중심의 농업경제에 토대한 것으로 추론된다. 초기철기시대부터 퇴보하기 시작한 논농사는 원삼국시대의 기후 악화를 제대로 극복하지 못한 채 전남지방에서는 5세기까지도 활성화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ries economic interpretation on settlements of 3rd~5th century AD, using charred crop remains from the Sangbangchon site, southwestern Korea(Jeollanamdo)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harred seeds in archaeological studies. Among 107 dwellings in the Sangbangchon site, 28 dwellings were abandoned due to the fire in which only 7 dwellings yielded charred grains of wheat (Triticum aestivum L.), soybean (Glycine max L.), red (or adzuki) bean (Vigna angularis W.F. Wight) and barnyard millet (Echinochloa crusgali L. var frumentaceum Hook F.). Charred grains were discovered near the entrance, opposite side of furnace structure. Dwellings with charred grains we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ettlement and had abundant artifacts including pottery steamer. They might have the central function of storing and distributing the harvested grains. Charred seeds were all husked grains without any weed seeds and waste remains, indicating that crop processing activities such as threshing, winnowing and sieving were conducted outside the dwelling. It has been presumed that wheat had sown during late autumn after harvesting legumes and millet. The absence of rice cultivation in the Sangbangchon site as well as other contemporary settlements in Jeollanamdo region indicates that its agricultural economy mainly depended upon dry-field crops such as free-threshing wheat and barley, soybean and red bean. It seems that wet-rice cultivation had not been activated until 5th century AD in this region, not overcoming climatic deterioration during previous Proto-Three Kingdoms perio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상방촌 탄화곡물의 종류와 출토 상황
Ⅲ. 탄화곡물로 본 상방촌 취락의 고경제
Ⅳ. 호남지방 마한계 취락의 농경
Ⅴ.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安承模(Ahn, Sung-Mo). (2006).長興 上芳村 炭火穀物의 經濟的 解釋. 한국상고사학보, (54), 81-113

MLA

安承模(Ahn, Sung-Mo). "長興 上芳村 炭火穀物의 經濟的 解釋." 한국상고사학보, .54(2006): 81-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