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靑銅器時代 聚落類型에 대한 考察

이용수 596

영문명
A Study on the Locational Pattern of Settlement in the Bronze Age : in the Midwest of the Korean Peninsul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朴性姬(Park, Sunghee)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54호, 21~4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1.0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동기시대 연구는 유형설정에 있어서 주거지와 출토유물의 형식분류에 치중되었다. 취락입지를 살펴본 연구도 잇따라 발표되고 있지만 일부 대표유적만을 다루고 있어 각 유형의 입지 양상을 파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에서 확인된 취락의 유구·유물상과 함께 입지형태를 검토해 취락유형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취락의 입지형태는 대지형으로 구릉지와 하천·해양지(평지형)로 구분하고, 비고를 유용한 속성으로 파악해 구릉지를 고지형, 구릉지형으로 세분하였다. 각 주거유형별로 입지형태를 살펴본 결과 가락동유형과 송국리융형은 구릉지형을, 역삼동유형은 고지형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취락유형은 구릉지성 가락동유형, 고지성 역삼동유형, 구릉지성 송국리유형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고지형을 선호한 역삼동유형 가운데 구릉지형에 입지하는 유적이 다수 확인되었는데, 이들은 유구·유물상에서도 가락동유형의 속성이 일부 나타나고 있어 가락동유형과 역삼동유형의 접촉으로 파악하였다. 이상과 같이 취락입지는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후기로 이행되면서 수전농경에 의해 단순히 고지에서 저지로 바뀐 것이 아니다. 고지형은 화전농경 및 수렵채집의 편리성으로 전기부터 역삼동유형의 생활터전이 되었지만 군사적·방어적 목적으로 후기까지 일부 송국리유형의 유용한 입지형태가 되었으며, 구릉지형은 평지와 인접한 생활에 있어서 효율적이기 때문에 전기부터 가락동유형의 주된 입지로 이용되었다. 한편 청동기시대 후기에 차령산맥 이남 지역을 중심으로 구릉지성 송국리유형이 확산되면서 동일한 분포권내의 구릉지성 가락동유형과 입지경쟁에 있어서 배타적 관계를 이루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A Study of the Bronze Age has been placed too much emphasis on assemblage of the settlement and remains. Recently some research works made progress in studies for Landscape Archaeology. But it has difficulty in comprehending locational pattern of cultural types. Accordingly this paper has become concerned with landscape of settlement. The locational type of settlement is divided broadly into two groups-hill, riverside & coast, and the hill type is divided into according to relative height. As for the Garakdong and Songgukri types, they preferred to locate the lowland of hill, but the Yeoksamdong type liked to place at highland of it. Consequently, three types of the highland's Yeoksamdong type, the lowland's Garakdong type, and the lowland's Songgukri type can be proposed. On the other hadn there are some sites belonging to the Yeoksamdong type of located at lowland. These partly include some artifactual attributes of the Garakdong type. Therefore thi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contact between two types. The change in the locational type of settlement from highland to lowland was not simply ascribed to the practice of the wet rice agriculture. Because the highland is better conditioned for the slash-burn farming as well as hunting-gathering, it had been settled by the Yeoksamdong type from earlier Bronze Age. Moreover, it had been also occupied by the Songgukri type people for military and defensive purposes. On the other hand, lowland of a hill had advantage for living in connection with flatland, it had been used for the settlement of the Garakdong typ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Late Bronze Age the Garakdong type people became confrontational with the Songgukri type people because of their common occupation of lowland region.

목차

요약
Ⅰ. 序言
Ⅱ. 聚落類型의 槪念과 遺蹟檢討
Ⅲ. 靑銅器時代 聚落의 立地形態
Ⅳ. 聚落類型의 設定과 樣相
Ⅴ. 結語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性姬(Park, Sunghee). (2006).靑銅器時代 聚落類型에 대한 考察. 한국상고사학보, (54), 21-47

MLA

朴性姬(Park, Sunghee). "靑銅器時代 聚落類型에 대한 考察." 한국상고사학보, .54(2006): 2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