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죽막동유적의 쇠퇴와 태안마애삼존불

이용수 630

영문명
The Decay of Chukmak-dong Site and the Image of three-Budda in Taean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주성(Kim Joo Su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40호, 57~7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5.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죽막동유적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원거리 항해안전을 기원하기 위한 제사유적지이다. 이 유적에서는 상당량의 무기류가 발견되었다. 이 무기류를 근거로 군사적인 성격을 강조하기도 하였으나, 원인의 “입당구법순례행기”를 통하여 무기류들이 해난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공헌물로 사용되었음을 밝혀 보았다. 6세기 중반이후 죽막동유적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한다. 이 유적이 쇠퇴한 이유를 백제가 무녕왕이후 태안반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되고, 북조와의 교류가 증가 되는 당시의 상황에서 찾아보았다. 6세기 중반 이후 죽막동유적의 유물이 그 양과 질에 있어서 급속히 떨어지는 것은 제사주체가 백제의 중앙세력에서 점차로 지방토착세력으로 바뀌어지는 것을 반증하는 현상으로 보인다. 이것은 죽막동이 점차로 백제의 대중국 항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다고 생각된다. 백제는 태안반도를 확보한 이후 태안반도를 대중국항구로서 중요시 여기게 되었던 것 같다. 사신단의 배가 안전하게 중국으로 가기 위해서는 대양에서 최단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죽막동에서 출발한 배라 하더라도 태안반도까지 북상하여야 했다. 여기에서 대양을 건너는 것이 남조로나 북조로의 가장 단거리를 확보하는 방법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또한 백제에서 6세기 중반 이후 북조로의 사신 파견이 증가되는 것도 죽막동보다는 태안반도가 대중국항구로서의 이점을 갖는 이유였다. 사신단이 파견될 때 해양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제사가 지내어진다. 이때 사신단과 선원들의 제사체계는 불교의 성행 이후 점차 달라지기 시작하였다. 선원들은 민간신앙적인 요소를 오래 동안 간직하고 있었지만, 사신단들은 불교의 발전으로 부처의 수호를 받는 것이 오히려 보다 더 위안이 되었다고 보여 진다. 이에 사신단들이 안전한 귀국을 염우너하거나, 안전한 귀국을 감사드리는 마음에서 점차 불상을 조상하는 일이 일게 되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것이 결국 태안이나 서산의 마애불 조상으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불교교리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지 못한 상황에서 기복적인 성격이 강하게 반영되어, 태안의 마애불에서 나타나듯이 특별한 경전적인 배경은 약화되고 해양의 안전을 도모해준다는 관음신앙이 주로 믿어지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o solve the problem of Chukmak-dong Site I try to find out the answer through the literature. It is 『入唐求法巡禮行記』 that was written by 圖仁. The arms found in Chukmak-dong was used to avoid the a thunderbolt. The mirror was used to bless the wind. Why the Chukmak-dong Site was declined? It has two causes. One was that the king of 武寧 acquired the Tae-An(泰安) peninsula. The distance between 山東 peninsula and 泰安 peninsula is shortest in the sea road. The other was that the representatives sent to North Dynasty was increased in Baekje at 6C. later. Image of three-Budda in Taean and in Seosan were established to bless the safe of a voyage. These were sculptured by the representatives. Therefore these were not made under the ideology of Buddistic Bible. These were the collection of Budda who were blessing the safe of a voyage.

목차

요약
1. 머리말
2. 죽막동유적에서 발견된 유물과 그 성격
3. 죽막동유적의 쇠퇴
4. 태안마애삼존불의 조성
5. 맺음말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성(Kim Joo Sung). (2003).죽막동유적의 쇠퇴와 태안마애삼존불. 한국상고사학보, (40), 57-75

MLA

김주성(Kim Joo Sung). "죽막동유적의 쇠퇴와 태안마애삼존불." 한국상고사학보, .40(2003): 57-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