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북아시아 중기 구석기문화 연구

이용수 516

영문명
A Study of Middle Paleolithic Culture in Northeast Asi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이헌종(Lee, Heon-jo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33호, 7~4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11.0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북아시아 중기구석기 문화의 편년의 폭은 지금까지의 자료로 정확히 설정할 수는 없지만 대략 중기갱신세 말기에서 후기갱신세 초기로부터 시작되고 30,000-35,000년 전까지 지속된다고 보여진다. 석기문화는 지역적인 특징에 따라 다양한데 기술적 측면에서 전기구석기 시대의 석기문화를 기초로 격지석기전통으로 전환되어 동북아시아적 기술체계의 변화가 시작되었다. 예측형태성은 떨어지지만 격지를 떼어내어 다양한 형태의 석기를 제작하는 것은 동북아시아 중기구석기인들에게 있어서 분명한 인식체계의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석기들은 질적인 향상과 일정한 석기들의 규칙성이 찾아진다. 물론 기존의 자갈돌석기전통은 계승되며, 양면박리를 원칙으로 하는 주먹도끼석기군이 유럽과 아프리카의 그것과 시간적으로 기술형태적으로 차별화된 지역성을 가진 하나의 석기전통으로 확산된다. 이 지역에서는 전통성 계승이 문화의 전파 혹은 이동보다 더 근원적인 것이다. 석재 사용에 있어서도 다양해지는데 그것은 역시 격지석기제작을 위한 인식변화에 따른 전략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후기구석기로의 전환기에도 격지석기전통은 유지되며 동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돌날석기전통으로 정착하기까지 상당기간 기술적 접촉 및 적응기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여전히 돌날석기의 정착은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동북아시아에는 이러한 격지석기전통의 정착으로 시베리아와 몽고일대에 확대되어 있던 르발루아기법을 바탕으로 한 석기문화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것은 양 지역간 석기문화의 연속과정에서 기술적 배경이 달랐다는 것을 말해준다. 석재의 차이로 르발루아 기술이 본격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식의 논의로 유럽의 기술이 동북아시아에 덜 적응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은 예전 동북아시아 격지석기전통에 대한 인식부족에 기인하는 것이다. 몸돌석기들이 주류를 이루던 석기문화에서 격지석기들이 중요한 석기문화의 근간을 차지한다는 점은 기술적으로 큰 발전이며 중요한 인식의 변화와 기술체계가 정착되어간 것이다. 단지 그것이 너무 보편적인 전개과정이라고 인식하는 것이 문제일 뿐이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recent researches on the Paleolithic period. Middle Paleolithic culture with Levallois technology does not appear to be an universal phenomenon. They show much differences in chronology and cultural conception. Recent data on the Paleolithic culture in the Northeast Asia can be a good example. They are very important data demanding a change of the cognitive framework in order to find distinctive aspects of the Northeast Asian cultural tradition differing from that of the Europe during the Middle Paleolithic period. In some archaeological sites in the Northeast Asia a few Levallois points and flakes have been found. However, the complex technical system producing Levallois points and flakes have not been discovered yet. Some Levallois cores are reported to have been found by Korean archaeologists. In the absence of any Levallois flakes, we think it more reasonable to view them as accidental byproducts in the process of radial flaking on the raw material. In a nutshell, we believe that Middle Paleolithic culture with distinctive regional characteristics existed in Northeast Asia. Many Paleolithic sites with stone tools of pebble tool tradition(chopper, chopping tool, polyhedral, large flakes, flake tools rarely point and hand axe etc), flake tool tradition, have been excavated throughout the Northeast Asia. Based on the analytical geological studies using the oxygen isotope curve, absolute datings, fauna and flora analysis, physical anthropological reaearch, middle paleolithic is dated between the and of middle paleolithic is dated between the end of middle pleistocene or early upper pleistocene and 35-30kyr. All of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exist two groups of technical system: Pebble Tool Tradition and Flake Tool Tradition in Northeast Asia. Although it is difficult to make a final conclusion based on a very limited number of sites and stone tools excavated, we believe that large flake tool tradition is one of important technical systems are not differentiated from each but mutually supplementary. It means that Middle Paleolithic man tried and accumulated new technological skills with carious raw materials. We need to pay a special attention to these cultural phenomena to have a full understanding of the Middle Paleolithic in this region. Pebble tool tradition in Northeast Asia carry both successive and conservative aspects. This has to do with the raw material. Noting that Pebble Tool tradition persisted for long time with little technical change, some scholars insist that the Paleolithic be divided into only two periods, that is, Early and Upper periods. However, we feel that it is a rather hasty generalization made without more detailed analysis of various technical changes in the Paleolithic Period. If we concentrate on technical changes, we can see that it is wrong to treat the appearance of large flake tool and increase of flake tool kits as a universal phenomenon. Second treatment and elavorated retouch can be interpreted as technological adaptation to different properties of various raw materials. Flake tool tradition does not represent a big change in the lithic technology as the type of debitage known as "Levallois".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and noteworthy in that it marks a "change of cognitive framework". If the Middle Paleolithic man did not have any interest in the use of flakes to make tools, more advanced stone tool culture of the Upper Paleolithic coming from the flake tool tradition might not have developed These technical changes could have been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new type human fossils, 早期知人 Early Homo sapiens, such as archaic Homo sapiens and Homo Neandertalensis in Korea and China. It is difficult to give a definite date of the origin of the Middle Paleolithic.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transition to the Middle Paleolithic in North China and Japan was made around 150-130ka. It is supported by absolute datings and geological researches conducte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동북아시아 중기구석기문화의 개념과 편년 문제
Ⅲ. 우리나라의 중기구석기문화의 제양상
Ⅳ. 주변지역의 중기구석기문화의 성격
Ⅴ. 동북아시아 중기구석기문화의 성격과 르발루아 문제
Ⅵ.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헌종(Lee, Heon-jong). (2000).동북아시아 중기 구석기문화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33), 7-48

MLA

이헌종(Lee, Heon-jong). "동북아시아 중기 구석기문화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33(2000): 7-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