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百濟 瓦積基壇에 대한 一硏究

이용수 490

영문명
A Study on Wajuck-Kidan(roof tiles-stacked stylobate) of Paekche period.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조원창(Cho, Weon Cha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33호, 89~132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11.0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瓦積基壇이란 기와를 사용하여 建物의 基壇을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基壇樣式은 百濟의 泗沘時代에서만 살펴볼 수 있는 것으로써 지금까지 漢城時代 및 熊津時代에서는 확인된 바 없다. 다만 이의 始原이 될 수 있는 塼土混築基壇이 公州 公山城內 臨流閣址에서 발굴조사되었을 뿐이다. 또한 高句麗나 新羅, 伽倻 등지에서도 이러한 와적기단이 조사된 바 없다. 와적기단은 築造方法에 따라 크게 平積式, 合掌式, 垂直橫列式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에서 사비시대 全 時期에 걸쳐 가장 유행하였던 基壇樣式은 평적식이다. 평적식은 堆積土 혹은 生土面上에 기와를 편평하게 올려 쌓는 방법(官北里建物址, 外理遺蹟, 陵山里廢寺址 제3건물지, 軍守里廢寺址 北方基壇(講堂址) 南面部, 王浦里 建物址)과, 生土面을 L자형으로 파내고 開口된 부분에 기와를 쌓는 방법(錦城山建物址, 扶蘇山城 西門址周邊 建物址), 그리고 기단면을 생토면까지 편평하게 整地한 후 기와가 놓이는 곳을 凵 모양으로 鑿掘하고 그 내부에 기와를 쌓는 방법(抺山廢寺址 西回廊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瓦列이 1列 혹은 2列이냐에 따라 평적식은 다시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합장식은 魚骨과 같이 중앙뼈가 될 수 있는 암키와를 한 매정도 끼워 놓고 이를 중심으로 八字形으로 암키와를 이용하여 조성하는 방법이다. 와적기단의 여러 樣式 중 裝飾性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軍守里廢寺址 中央基壇 南面部, 東方基壇 南面部 등에서만 살필 수 있다. 수직횡렬식은 암키와만을 이용하여 布目痕이 있는 內面을 基壇 안쪽으로 하여 중복되지 않게 1列로 땅에 박아놓은 양식이다. 軍守里廢寺址 中央基壇 北面部, 東面部, 西面部 등에서만 확인되었다. 이렇게 볼 때 합장식과 수직횡렬식의 와적기단은 軍守里廢寺址에서만 사용되었으며, 그 時期는 6세기 중엽이루호 추정된다. 백제의 사비시대에 유행하였던 와적기단은 일본의 飛鳥․白鳳時代에 해당하는 여러 遺蹟에서 일찍부터 조사된 바 있어 百濟-日本과의 文化相關關係를 엿볼 수 있게 한다. 특히 《日本書紀》 券第21 崇峻天皇 元年 (威德王 35, 588년) 3月條에 언급되고 있는 백제에서 일본으로의 造寺工 파견은 와적기단의 일본 전파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일본은 백제와 비교해 基壇과 生土面 사이에 地臺石을 놓고 있어 세부적 차이를 알게 한다. 차후 백제에서의 좀 더 다양한 와적기단의 발굴조사를 통해 검토해 볼 자료이다.

영문 초록

Wajuck-Kidan refers to a type of stylobate that is constructed by roof tiles. This type of stylobate is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Sabi era architecture of Paekche and so far, it has not been found in any building sites that belong to the Hansung and Ungjin era. Even though brick and clay blended stylobate(塼土混築基壇), which can be regarded as a prototype of Wajuck-Kidan. has been excavated at Imryukak sites(臨流閣址) in Kong-san castle, Kongju. Furthermore, Wajuck-Kidan has not been used in Koguryo. Silla and Kaya's architecture either. According to it's constructional method. Wajuck-Kidan is divided into three types: horizontally-laid type, fishbone like-laid type, and vertically-laid type. There are further three different ways of construction horizontally-laid type. The first is to stack roof tiles evenly on the surface of foundation soil(生土) or accumulation soil(堆積土). The second is to stack and dig out foundation soil shaped "L" where roof tiles are piled up. The last is to dig and flatten foundation soil to hollow stylobate site into 凵-shaped space where roof tiles will be laid inside. The fishbone like-laid type is to position a female roof tiles in center and to surround the female roof-tiles forming a '八‘ shape. This is the most decorative of all Wajuck-Kidan types and has only been found in the southern parts of central stylobate and eastern stylobate in Kunsuri temple sites. In vertically-laid type, only female roof-tiles are driven in a row without overlap. It has only been seen in northern,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the Kunsuri temple sites. It Seems Kunsuri temple sites is the only that these two types of stylobate where used and it is estimated to date back to late sixth century. Wajuck-Kidan can be also traced in various relics of Asuka and Nara period in Japan. In particular, 『Nihonshoki』 mentions that temple builders of Paekche were sent to Japan, which can be interprected as crucial contribution to the spread of Wajuck-Kidan to Japan. However, in detail, compared to Paekche style, Japanese temple builders lay foundation stones between foundation soil and stylobate.

목차

요약
Ⅰ. 序言
Ⅱ. 百濟 瓦積基壇 遺䟺現況
Ⅲ. 百濟 瓦積基壇의 始原과 形式分類
Ⅳ. 百濟 瓦積基壇의 日本塼播
Ⅴ. 百濟 瓦積基壇의 編年的 考察
Ⅵ. 結言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창(Cho, Weon Chang). (2000).百濟 瓦積基壇에 대한 一硏究. 한국상고사학보, (33), 89-132

MLA

조원창(Cho, Weon Chang). "百濟 瓦積基壇에 대한 一硏究." 한국상고사학보, .33(2000): 89-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