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살인의 영향과 피해자 지원에 관한 소고

이용수 313

영문명
The Study on Effects of Homicide and Supports for Victims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김은주(Kim, Eun Ju)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5권 제1호, 3~4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5.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살인의 피해자들이 형사사법시스템에 참여하는 과정, 살인이후 일어나는 심리적 외상과 감정적 측면에서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살인이후의 일반적인 심리적 변화 과정은 비통의 단계 모델을 대체로 따르지만 기간ㆍ강도ㆍ복잡성에 따라 개인차가 나타난다. 살인으로 가까운 사람을 잃은 사람들은 보통 PTSD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형사사법기관의 담당자들이 하는 행동과 대처방식에 따라 피해자들의 심리적 회복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상담기술ㆍ대처방안 등의 교육을 통하여 피해자들의 피해회복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피해자들은 형사사법절차를 비롯한 피해회복의 전 과정에 걸쳐 접해야 하는 기관들과 모두 연계될 수 있는 법적조직을 필요로 했으며, 양육비, 정신과 상담, 법적 비용 등 피해자에 대한 배상분야가 다양화 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많은 피해자들은 형사사법기관으로부터의 정보를 구하는데 있어 심각한 좌절감을 느끼고 있었는데, 수사과정 및 사법절차에 관한 정보가 시의적절하고 정확하게 전달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피해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단일화된 지원 시스템이 신속하고 적절한 의사소통에 효과적일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outlines some of the emotional and practical aspects of traumatic bereavement and the needs that subsequently arise, with particular regard to bereaved people's involvement with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cess follow the stages of grief. It differ significantly in duration, intensity and complexity. People bereaved by homicide are at significant risk of develop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Bereaved people would be helped greatly if staff within criminal justice agencies who deal directly with families of murder victims were given training in counselling skills, trauma and grief, and were made aware of how their actions and behavior can help and hinder the grief process. Practical and domestic issues was important problem with victims. Anxiety about being able to manage financially affects many bereaved people, particularly when the victim was the main wage earner. Problems associated with child-care were mentioned by many victims, most notably by grandparents who found themselves with unanticipants new responsibility for children whose mothers had been killed by their fathers. The paucity of support for children bereaved by homicide should be considered. There needs to be statutory body to take on overall liaison with all the agencies. It is necessary for victims to vary victim compensation program including child-care costs, counselling and legal fees. In view of the frustration that many bereaved people experience at getting information from criminal justice agencies, it is important that the criminal justice system service prioritizes conveying timely and accurate information to bereaved relatives in a sensitive and respectful manner. So building a one-stop support system is useful for sensitive and rapid communication.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살인피해에 대한 반응
Ⅲ. 살인피해의 현실 - 피해자등의 요구
Ⅳ. 피해자지원에 대한 제언
Ⅴ. 결론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주(Kim, Eun Ju). (2009).살인의 영향과 피해자 지원에 관한 소고. 한국범죄심리연구, 5 (1), 3-42

MLA

김은주(Kim, Eun Ju). "살인의 영향과 피해자 지원에 관한 소고." 한국범죄심리연구, 5.1(2009): 3-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