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종교대처의 조절효과 검증

이용수 307

영문명
The Relationship of Catholic Youngsters' Religiosity, Religious coping, and their Well-being in Gwangju City
발행기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저자명
조발그니(Cho, Balkeuni) 김병욱(Kim, Byoung-uk)
간행물 정보
『사회연구』2009년 제1/2호, 83~10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종교대처, 안녕감이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가 일관되지 않게 나타난 이유가 조절변수인 종교대처의 작용이라고 보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천주교 광주대교구 내 13개 성당의 청년 252명을 대상으로 종교성 척도, 종교대처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사회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상관분석, 동시 회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대처의 세 가지 양식은 종교성, 안녕감과 다른 상관을 보였다. 종교대처 양식 중 공협형과 책임전가형은 종교성 하위 요소인 신경에 대한 동의, 경건성, 교회 출석, 조직 활동, 종교 활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종교성의 하위 요소 중 조직 활동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 예언변수였고,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교회 출석이었다. 셋째, 공협형은 종교성의 모든 하위요소에 대해서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보인 반면, 자기주도형은 종교성의 하위요소 중 신경에 대한 동의와 경건성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종교대처 양식 중 공협형은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예언변수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종교대처 양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공협형과 자기주도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변수로서 작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볼 때, 공협형의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종교성이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종교기관은 청년들을 위한 활동이나 교육을 계획할 때 종교성의 증진 뿐 아니라, 청년들의 종교대처 방식에 대한 관심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religiosity, religious coping, and well-being. Especially, special concern was given to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in the 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religiosity, religious coping and well-being were administered to 252 youngsters belonging to 13 churches in Gwangju City. The actual relationship between youngsters' religiosity and their well-being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categories of religiosity and those of well-be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in the 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 differs according to religious coping. If youngsters have deferring and collaborative types in religious coping,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sters' religiosity and their well-being is positive. The attendance at the church is important to improve youngsters' well-being. Second, only the attendance at church activities affects youngsters' positive well-being. In conclusion, religious coping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religiosity and youngsters' well-being. This means that religious institutions should pay attention to youngsters' involvement and activities at the church. That is, positive attendance at church activitie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youngsters' religiosity and improving well-being. Further research with in-depth interview is needed to explore richer data on youngsters' religios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발그니(Cho, Balkeuni),김병욱(Kim, Byoung-uk). (2009).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종교대처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연구, , 83-109

MLA

조발그니(Cho, Balkeuni),김병욱(Kim, Byoung-uk).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종교대처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연구, .(2009): 83-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