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삭아에서 발생한 신생아 경련의 임상 양상과 위험인자

이용수 108

영문명
Clinical Characteristics with Risk Factors for Term Neonatal Seizures
발행기관
대한소아신경학회
저자명
김민영(Min Young Kim) 서은숙(Eun Sook Suh)
간행물 정보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7권 제1호, 22~32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5.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신생아 경련은 신생아의 신경학적 문제를 초래하고 신생아 유병률 및 사망률과 중요한 연관성을 가진다. 그 중 만삭아 경련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만삭아 경련 발생의 위험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 임상적 특징에 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환자-대조군 빈도 짝짓기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후향적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만삭아 경련에 대한 위험인자로 신생아와 모성 측면의 인자를 포함하였고 만삭아 경련의 발생 시기, 발생형태, 뇌파 및 영상학적 소견, 치료 반응 등을 분류하였다. 결 과:만삭 신생아의 경련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로서 신생아 가사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모성 측면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뤄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경련의 발생 시기는 전반적으로 고른 분포를 나타냈으나, 신생아 가사에 의한 경련은 9명 중 8명(88.9%)이 48시간 내 발생하면서 조기에 유발되었다. 경련 형태는 다양하였지만 신생아 가사를 보인 만삭 경련아의 9명 중 5명(55.5%)이 비전형적 경련 형태를 보이면서 신생아 가사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경련 형태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전신 강직성 경련은 경련이 조절되지 않은 환아 6명 중 3명(50%)에서 관찰되었고 예후가 가장 좋지 못하였다. 뇌파는 검사를 시행한 34명의 환아 중 29명(85.3%)이 이상 뇌파 소견을 나타내어 진단적 도움이 되었다. 뇌영상학적 검사로 MRI, CT, 초음파를 44명에게 시행하였으나 진단적 특이 소견은 없었다. 만삭아 경련아에게 항경련제의 사용은 투여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투여한 경우가 경련 조절에 효과적이었다. 1차 항경련제로 phenobarbital을 사용하였고 2차 항경련제로 phenytoin을 투여하였으며, 경련아 48명 중 23명(48.0%)은 1차 phenobarbital 투여만으로도 경련이 조절되었다. 대사성 장애에 의한 경련은 항경련제 도움 없이 대사 이상의 교정만으로도 경련이 조절되기도 하였으나, 항경련제를 동시에 투여하기도 하여 감별이 어려웠다. 그러나 신생아 경련은 급성 발작 형태로 나타나며 신경학적 장애를 더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경련이 발생하면 우선적으로 항경련제를 투여하는 방향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만삭아에서 발생한 경련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신생아 가사는 만삭아 경련을 유발하는 가장 흔하고 중요한 인자였다. 그 외에 보고된 여러 위험인자들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신생아 가사에 의한 만삭아 경련은 조기에 발생하고 항경련제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사망 혹은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 가사에 의한 만삭아 경련을 규명하고 관련 위험인자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경련의 발생을 예측하고 미리 관리하는 것이 도전 과제로 남는다.

영문 초록

Purpose:Neonatal seizures reflect neurologic disorders, affecting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Nevertheless, risk factors for seizures in term infants have been less well defined. We studied risk factor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associated with term neonatal seizures. Methods:We used retrospective case-control frequency matching study. We not only identified risk factors for term neonatal seizures, but also analyzed day of seizure onset, seizure types, findings of EEG and neuroimagings, and response to treatment. Results:Our data showed that asphyxia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neonatal seizures in term infants. We could not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risk factors and the risk of term neonatal seizures. Days of seizure onset were diverse. The seizures caused by asphyxia occurred earlier, of which 90% did within the first 48 hours. Various types of seizures were observed of which subtle seizures were the most common type in neonatal asphyxia. EEG was diagnostically available. However, it did not provide critical evidence to predict prognosis of their seizures. Neuroimaging studies were not helpful for the clinical diagnosis. Term infants with seizures who used antiepileptic drugs showed effective responses in managing seizures. There were no sustained seizures in 48 % of all cases who used phenobarbital only. Conclusion:We confirmed neonatal asphyxia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term neonatal seizures. Other risk factors are required to be further evaluated. We should identify and establish etiologic risk factors for term neonatal seizures particularly following neonatal asphyxia, and challenge to predict seizure onset and manage presumed seizures in advance.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영(Min Young Kim),서은숙(Eun Sook Suh). (2009).만삭아에서 발생한 신생아 경련의 임상 양상과 위험인자.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7 (1), 22-32

MLA

김민영(Min Young Kim),서은숙(Eun Sook Suh). "만삭아에서 발생한 신생아 경련의 임상 양상과 위험인자."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7.1(2009): 2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