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노동생산성에 대한 평균교육수준의 영향(1982~2006)

이용수 116

영문명
The Impact of Education Level on Labor Productivity in Korea(1982~2006)
발행기관
한국경제통상학회
저자명
정용석(Yong-Seok Jung)
간행물 정보
『경제연구』經濟硏究 第26卷 第4號, 109~13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1982~2006년 기간 동안 한국에서 취업자의 노동생산성에 대한 교육수준(평균교육년수로 대용)의 영향을 분기자료에 한계검정법(bounds test) 방식의 공적분 검정과 오차수정 모형(Error Correction Model : ECM)을 적용하여 고찰한 것이다. 공적분 검정결과, 교육수준과 노동생산성 간에는 장기적 연관관계가 존재했으며, 모형에 포함된 여타 변수들 간에도 장기적 연관성이 있었다. 노동생산성에 대한 교육수준의 영향은, 첫째 교육으로 축적된 지식스톡이 생산요소로서 직접 노동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와, 둘째 교육수준이 기술계수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노동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등 2가지 경로를 구분하여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수준의 제고는 노동생산성에 대해 단기(short term) 혹은 초기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장기(long-run)적으로는 분명한 정(+)의 영향을 준 것으로 나 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education level(proxied by average years of schooling) on per capita employed labor productivity in Ko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bounds testing cointegration technique and restricted error-correction methodology. The data span for the study is from 1980:1 to 2006:4. The results of the cointegration examination suggest that there is long run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ducation with productivity of per worker. The study also able to establish long run relationship among the other series in the model. Two different channels are analyzed, through which education level can affect productivity of per worker. The first channel(model 1) is when education is a direct input in the production function and the second channel(model 2) is when the education affects the technical parameter, that is,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In model 1, the rise of education level had a negative effect on labor productivity in the short run, but a positive effect in the long-run. In model 2, the rise of education level had a negative effect on labor productivity at first, and gradually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Thu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roved education level which led by a rising rate of higher educ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labor productivity due to increase opportunity costs at an early stage, but eventually, in the long-run, mad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labor productivity both via factor accumulation as well as on th evolution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Korea, where the ratio of students who entrance to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the highest level in the world, education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an increase in productivity by TFP, which tells the bright outlook for the Korean economy.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모형
Ⅲ. 실증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용석(Yong-Seok Jung). (2008).한국의 노동생산성에 대한 평균교육수준의 영향(1982~2006). 경제연구, 26 (4), 109-135

MLA

정용석(Yong-Seok Jung). "한국의 노동생산성에 대한 평균교육수준의 영향(1982~2006)." 경제연구, 26.4(2008): 109-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