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도 중·고등학생들의 의식구조와 그 함의

이용수 31

영문명
Cognitive Aware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Jeju and its Implications
발행기관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염미경(Yeum, Mi-Gyeung)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15집, 35~7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제주도 중・고등학생들의 의식구조와 그 함의를 제시함으로써 중・고등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남녀의 성역할에 대한 인식, 봉사의식, 도덕성 및 사회규범준수의식, 인생관, 결혼 및 가족관, 사회의식 및 통일의식 등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남녀의 성역할에 대한 인식과 관련해 일상생활 속에서 양성평등의식의 확대와 양성평등문화 형성을 위해 부합되는 제도의 정착과 학교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덕성 발달과 관련해서는 학생들이 칭찬과 인정을 받기 위해서 부모, 또래, 사회집단의 규칙에 따르려고 애쓰며 청소년의 인간적 가치를 가름하는 유일무이한 평가 기준으로 대두되면서 학교 공부와 시험은 일생일대의 최상 과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입시정책 등 교육정책의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지만, 현 체계 내에서 학교는 인성교육(도덕교육)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대다수 청소년들은 화목한 가정, 가족 구성원의 건강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점차 부모를 봉양해야 한다는 의식이 중・고등학생들에게서 약화되고 있고,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심화될 것이다. 이 점은 앞으로 국가와 지역사회 차원의 노인복지시스템의 구축과 내실화가 필요하고, 청소년들이 효도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학교나 지역사회 차원의 프로그램 마련도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우리사회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사회적으로 안전망이 확고한 것도 아닌 상황에서 직장의 안정감은 현저히 떨어지고 있고, 가족의 부양 특히 자녀의 교육비에 대한 부담을 커지고 있어 부모세대가 느끼는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들에게 효도의 의미를 생각해보게 하는 프로그램은 여전히 중요한데, 가족은 최소 사회단위로서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배우는 일차적인 장(場)이라는 점에서도 그렇다. 또한 청소년들로 하여금 통일에 대해 관심과 흥미를 갖게 하고 ‘왜 통일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도록 학교 내외의 통일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survey cognitive awareness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who live in Jeju-do. Concrete questions like these were needed: 1) what i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gender role like? 2) what i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mitment to the society like? 3) what i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parents and family like? 4) what i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cial consciousness and recognition of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lik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ould be epitomized as below. First, observation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gender role : consciousness of gender role was high in general. Though, about 20percent of the students is showing gender discrimination. Second, observation on moral consciousness : there was many students which have a sense of inferiority complex of a economic, a question of money, and academic achievement. Peers and parents are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world of the students. Third, observation on awareness of parents and family : it seems that their awareness are better than we expected. There are many students who think they are receiving love and affection from parents. And it can be said that their exist no serious problems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Fourth, observation on social consciousness and recognition of national unification : 1) social consciousness : students are showing very selfish and opportunistic tendencies that the violation of laws does not matter if that is not detected even though they think they have to keep the norms for social justice. 2) consciousness of unification : Most of students wanted the gradual and peaceful unification and objected the unification by military force or by any other coercive methods, but 22 percent of the total students was very low.

목차

국문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논의의 배경과 연구방법
Ⅲ. 분석의 결과 및 해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미경(Yeum, Mi-Gyeung). (2006).제주도 중·고등학생들의 의식구조와 그 함의. 인문사회과학연구, 15 , 35-71

MLA

염미경(Yeum, Mi-Gyeung). "제주도 중·고등학생들의 의식구조와 그 함의." 인문사회과학연구, 15.(2006): 35-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