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세기 초, 한국 서화가의 존재 방식과 양상

이용수 702

영문명
A Study on Activities of Korean Caligraphic Painters in the Early 20th Century:Focusing on caligrahic painting works by Haegang Kim Gyu Jin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이성혜(Lee, Seong hea)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28輯, 225~286쪽, 전체 6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2.28
10,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20세기 초 한국 서화가의 존재 방식과 양상을 해강 김규진의 서화 활동을 중심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20세기 초는 중세적 경제에서 근대 자본주의적 경제로, 중국 중심의 문화에서 서구 중심의 문화로, 요컨대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이 시기 한국서화가들의 존재 방식을 연구하는 것은 중세예술이 근대예술로 변화하는 속성을 규명하는 중요한 과제이다. 다만 이 연구는 한 사례로서 ‘해강 김규진의 서화 활동을 중심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20세기 초’라고 규정한 것은, 이 시기가 ① 한국 근대 개화기와 겹치면서 아직 온전한 근대가 되지 못한 19세기와 식민지기를 벗어나는 20세기 후반의 중간 시기로 교량적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고, ② 한국미술사에서 근대적 움직임이 일어나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김규진을 통해 이 연구의 목적을 이루려는 것은, ① 김규진이 바로 이 시대를 살며, 다양한 방법과 왕성한 활동으로 서화가가 자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근대적 방식을 이루고자 다양한 실험과 노력을 한 대표적 서화가이며, ② 이 논문이 한국서화가의 존재방식과 서화의 유통에 관한 거시적 연구의 시발점에서 試論的성격을 띠기 때문에 한 작가로 예각화하여 하나의 노둣돌을 놓는 방식을 취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김규진은 중세적 사회에 평양이라는 주변지에서 가난한 농군의 아들로 태어나 지독한 가난을 경험했으며, 여덟 살 때부터 외숙 이희수에게 10년간 서화와 한문을 배웠다. 이후 10여 년 동안 중국에 유학 및 유람했으며, 아직 중세적 사회 모습을 한 대한제국에서 관리와 왕세자의 서화선생을 역임했다. 이후 그는 조선을 삼킨 일본의 고위 관리 및 이른바 친일파인 고관대작들과 거리낌 없이 교유하며, 일제의 기관지인 매일신보의 단골 논객이 되었다. 그가 대한제국의 관리가 되어 궁에서 필요로 하는 서화 작업을 하고, 영친왕의 서화선생을 했다는 것은 예술가로서 자립적이라기보다는 여전히 관에 예속된 삶이라 하겠다. 그러나 1907년 영친왕이 인질로 일본에 끌려가고, 조선에 대한 일본의 압박이 심해지자, 그는 궁내부의 관리를 그만두고 자립적인 삶의 방식을 모색한다. 그 첫 번째가 천연당사진관 개업이었다. 서화가인 그에게 사진은 단순히 말하면 寫生과 寫實의 동질성 측면에서 관심을 끌었을 것이다. 그는 사진을 재빨리 받아들였으며, 직접 조작했고, 사진관을 열었다. 한편 그는 사진을 근대적 산물로 그 영향력에 대해 재빨리 파악했음이 분명하다. 사진관을 하면서 동시에 손을 댄 것은, 일신측량사무소와 한성미술조각사이다. 여기서 김규진의 다양한 지적호기심과 상업적 마인드를 엿볼 수 있다. 그러나 그는 화랑 고금서화관을 열면서 사진과는 거리를 둔다. 사진관에서 고금서화관으로 좀 더 서화가다운 환경으로 이동했다고 하겠다. 고금서화관을 운영하 던 그는 해강서화연구회라는 서화학원을 개설하였다. 사진관과 고금서화관 그리고 회비를 받는 서화연구회를 운영하면서 서화가로서 왕성한 활동을 펼친다. 개인 및 연구회 이름으로 각종 전람회와 휘호대회를 전국적으로 개최하고, 서화이론을 신문에 연재하며, 그림을 신문에 기고하고, 서화 관련 책을 발간하기도 한다. 그는 이제 서화가로서 당당하게 존재하며 자립하게 되었다. 그가 서화가로서 자립하기 위해서는 경제문제가 선결되어야했으며, 그는 이를 사진관 → 화랑 → 서화학원을 거치면서 완성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潤單(그림값 목록)을 당당하게 제시하여, 서화를 상품으로, 서화가를 전문 직업인으로 자립시켰다. 마침내 근대적 방식의 자립적 서화가가 탄생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trends of Korean calligraphic paint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by focusing on activities of one of those painters, Haegang Kim Gyu Jin. The early 20th century was a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medieval to the modern capitalist economy and Sino-centric to Western culture. In other words, importantly, it was when Korea was moving from the medieval to the modern times. In this sense, looking into the status of Korean calligraphic painters who lived in the same period may be quite significant in determining developments from the medieval to the modern art of the nation. In so doing, this study puts its focus on calligraphic paintings by Haegang Kim Gyu Jin. Kim Gyu Jin was born as a poor peasant's son in Pyongyang, a city far away from the capital when Korea was still in the medieval times. He experienced extreme povery when a child. From the age of 8, he learned calligraphic painting and Chinese characters from his maternal uncle, Lee Hee Soo for a decade. After that, he toured and studied in China for about 10 years. Then he became a governmental official of the Korean Empire, which was till in medieval state, and instructed calligraphic painting to the crown prince. After Chosun was colonized by Japan, Kim Gyu Jin actively made exchanges with not only high officials of Japanese nationality, but also those of Korean nationality who were pro-Japanese. In addition, he became a regular contributor of the Maeil Shino as an organ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he fact that Kim Gyu jin was an official of the Korean Empire, made calligraphic paintings for the royal court and taught calligraphic painting to the crown prince, Young Chin suggests that his life was then subjugated to his public agency rather than being independent as an artist. But after the crown prince was taken to Japan as hostage in 1907, Japan strengthened pressures on Chosun. Under this circumstance, he was dismissed from the position of the royal court official, and he tried to find another way of his own life. At first, he opened Cheonyeondang Photo Studio. For him as a calligraphic painter, photography was very attractive because its production, or real pictures were similar in many aspects to sketches of nature. Kim Gyu Jin accepted photography earlier, manipulated it in person and finally opened a photo studio. It is probable that he earlier recognized the power of photography as a modern outcome. As he was running the photo studio, he simultaneously engaged in Ilsin Surveyors' Office and Hanseong Art & Sculpture Company. This suggests that Kim Gyu Jin had lots of intellectual curiosity and business mind. But late he kept himself away from photography as he opened an art gallery, Gogeum Seohwagwan meaning an ancient and modern calligraphic painting gallery. This indicates that he changed his life environment in order to comply with his original profession, or calligraphic painter. While running the gallery, he opened Haegang Calligraphic Painting Research Institute which was a calligraphic painting academy. He was very active as a calligraphic painter as he simultaneously ran the photo studio, the art gallery, and the research institute where learners were financially charged. He hold nationwide exhibitions and competitions of calligraphic paintings under the name of himself or the research institute. He also contributed the theories and works of calligraphic painting to newspapers and issued related publications. Now he could establish his position as calligraphic painting and thereon support himself. To support himself as a calligraphic painting, Kim Gyu Jin had to be free of any financial difficulty. This was achieved as he first opened the photo studio, then the art gallery and finally the calligraphic painting research institute. By courageously offering so-called 'yundan'(list of painting prices), in the meantime, he made it possible to establish calligraphic as a commercial

목차

Ⅰ. 머리말
Ⅱ. 20세기 초, 대표적 서화가 김규진
Ⅲ. 書畵의 대중화와 상품화
Ⅳ. 『매일신보』를 통한 書畵활동과 홍보
Ⅴ. 맺음말 : 書畵家의 자립적·근대적 존재 방식 탄생
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혜(Lee, Seong hea). (2009).20세기 초, 한국 서화가의 존재 방식과 양상. 동양한문학연구, 28 , 225-286

MLA

이성혜(Lee, Seong hea). "20세기 초, 한국 서화가의 존재 방식과 양상." 동양한문학연구, 28.(2009): 225-2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