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근대 불교계의 민족인식

이용수 196

영문명
National Consciousness of Modern Korean Buddhism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김순석(Kim, Soon-seok)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21호, 297~337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근대 불교계에서 민족의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두 단계로 구분하고 시기별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수용기의 특징은 서구문물과 일본 불교계에서 파견된 포교사들로부터 또는 개화승들의 일본 방문을 통하여 민족을 자각하여 가는 시기지만 뚜렷하게 인식하지는 못하였다. 형성기는 일본 불교계의 위장된 친절과 단계적이고 교묘한 침략 정책에 불교계가 회유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민족인식이 성숙되어가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임제종 설립운동과 같은 불교계 내부에서 일종의 민족운동이 일어난 사실에서 민족의식이 형성되어 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불교계의 민족의식은 3․1운동이라는 거족적인 항일운동을 거치면서 선량한 모습으로 발현된다. 1919년 상해에서 발행된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는 일본의 침략 행위를 강력하게 규탄하였다. 한용운은 옥중에서 「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이라는 명논설을 집필한다. 이 논설에는 일본의 침략 행위는 도의와 정의에 위반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조선이 독립하는 것은 하늘의 뜻이며 그것은 세계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전제조건임을 천명하였다. 이러한 사상은 민족주의의 틀을 넘어서 세계평화를 지향하는 것이다. 민족이란 말은 세계평화라는 단어 앞에는 무력해진다. 다만 개별적인 주체성을 가지고, 전체적인 조화를 이룬다는 측면에서 제한적인 의미를 가질 뿐이다. 결국 민족주의는 불교적 관점에서 보자면 극복되어야 할 과제라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ivides into two periods the process of raising national consciousness in modern Korean Buddhism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e Period of Admission was the time when the nation's Buddhist circles began to develop national consciousness in contact with Western civilization and monks dispatched from Japan and with the help of enlightened Korean monks who visited Japan. The depth of this self-awareness, however, was quite shallow. The Period of Formation was the time when such national consciousness came closer to maturity, though it seems that the nation's Buddhists were deceived by the Japanese counterparts, who showed Koreans deceptive kindness and secretly espoused Japan's cunning plan to invade the nation. The spread of national consciousness in this Period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nationalist movements occurred among Korean Buddhists, with the prime example of the "establishment of Linchitsung." National consciousness among Korean Buddhists manifested itself around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 nationwide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Korean Buddhist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hich was issued in Shanghai in 1919, strongly denounced the Japanese occupation. In prison, Han Yong-un wrote the "Thoughts on Korean Independence" , pointing out that the Japanese aggression goes against the principles of morality and justice. He declared in the article that an independent korea is not just divine providence, but a prerequisite for world peace. That is, his declaration was aimed at world peace beyond the confines of nationalism. The importance of a people is often overshadowed by the cause of world peace. However, a people can be recognized when they achieve both autonomy and harmony. In Buddhists' view, therefore, nationalism is an obstacle that should be overcome.

목차

1. 머리말
2. 불교계의 민족인식 형성과정
3.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에 나타난 민족인식
4. 「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에 나타난 세계평화주의
5. 맺음말
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순석(Kim, Soon-seok). (2008).한국 근대 불교계의 민족인식. 불교학연구, (21), 297-337

MLA

김순석(Kim, Soon-seok). "한국 근대 불교계의 민족인식." 불교학연구, .21(2008): 297-3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