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숙종 7년 중국선박의 표착과 백암성총의 불서간행

이용수 479

영문명
The Drifting Ashore of a Chinese Ship in the 7th Year of King Sukjong's Era and the Subsequent Publication of Buddhist Books by Baegamseongchong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이종수(Lee, Jong-su)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21호, 259~295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후기 佛書刊行에 있어서 가장 공이 큰 사람은 栢庵性聰이다. 그는 1681년에 전남 암지도에 표류해온 중국 선박에 실려 있던 불서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징광사와 쌍계사를 중심으로 197권 5000 여판의 책들을 간행하였다. 그런데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성총의 불서간행에 대해 언급하면서도 중국 표류선의 실체와 그 불서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다. 본고는 이런 점에 주목하여 표류선의 실체와 그 불서의 종류를 살펴보고, 성총의 불서간행에 있어서 어떤 의도가 있었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1681년의 표류선은 일본으로 가던 중국 상선이었다. 나주 관아에서는 표류선의 불서들을 수습하여 조정에 올려 보냈다. 숙종은 틈틈이 불서들을 열람하였으나 배불적인 유학자들 때문에 왕실에 보관하지 못하고 남한산성의 사찰에 나누어 주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런데 당시 동아시아 해상은 대만을 점거하여 청나라에 대항하고 있던 鄭氏一家에 의해 장악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그 표류선은 정씨일가의 비호 아래에 무역을 하던 중국 상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표류선에 있던 불서로서 관아에서 미처 수습하지 못한 것을 성총이 수집하여 간행하였는데 그 서적 중에는 1620년대에 葉祺胤이 간행한 『華嚴經疏演義鈔』가 있었다. 이 책은 중국 嘉興大藏經의 續藏에만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표류선의 불서가 가흥대장경일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성총이 간행한 서적들과 가흥대장경의 목록을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성총이 간행한 불서의 대부분이 가흥대장경에 있는 책들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표류선의 불서는 가흥대장경의 불서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런데 성총이 간행한 서적 중에는 가흥대장경에 포함되지 않은 것도 있었다. 그 서적들은 당시 불교계에서 성립되고 있던 履歷過程 중에서 四集科의 교재였다. 그리고 성총이 간행한 가흥대장경의 불서들도 대부분 이력과정의 교재들에 대한 참고서에 해당하는 책들이었다. 그러므로 성총은 당시에 성립되고 있던 승려의 이력과정을 고려하여 불서를 간행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Baegamseongchong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publication of Buddhist books in the late Joseon Dynastry. In 1681, a Chinese ship shored up on the coast of Imja Island in South Jeolla Province, and some Buddhist books from the wrecked ship were gathered by Baegamseongchong. He published 197 volumes, composing of 5000 printing blocks, of Buddhist books at Jinggwangsa Temple and Ssanggyesa Temple. Many scholars have focused on Baegamseongchong's publication; however the source of its rediscovery-the shipwrecked Chinese boat-has remained unexamin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dentity of the ship and the books it was carrying, and to elucidate the purpose of Baegamseongchong's publication. When one considers the fact that the Jeong family, who at the time occupied Taiwan and was active in resisting the Qing Dynasty, had command of the East Asian sea, it is possible to regard the ship as a Chinese merchant ship which had trade relations with Japan under the patronage of the Jeong family. Baegamseongchong gathered the remaining books from the ship and published them. Among those published was the Commentary and Subcommentary on the Avataṃsaka Sūtra(華嚴疏鈔) by Chengguan(澄觀), which was published by Seop Gi-yun(葉祺胤) in the 1620s. This book belonged to the second edition of the Tripitaka Jia Xing. It is now possible to apprehend that the books from the wrecked ship were the Tripitaka Jia Xing. It was also discovered that some of the books from Baegamseongchong's publication did not belong to the Tripitaka Jia Xing. These books were textbooks for the Sajipgwa lesson(四集科), a Buddhist educatiobn course which was coming into existence at the time. Furthermore, the books from the Tripitaks Jia Xing were also a reference book for the education course. This fact shows that the purpose of Baegamseongchong's publication was to use the books for the Buddhist education course.

목차

1. 머리말
2. 1681년 중국선박의 표착
3. 성총의 佛書 수집과 간행
4. 맺음말
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수(Lee, Jong-su). (2008).숙종 7년 중국선박의 표착과 백암성총의 불서간행. 불교학연구, (21), 259-295

MLA

이종수(Lee, Jong-su). "숙종 7년 중국선박의 표착과 백암성총의 불서간행." 불교학연구, .21(2008): 259-2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