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瑜伽師地論』의 「聲聞地」에서의 轉依 개념

이용수 247

영문명
On the Concept of āśrayaparivrtti in the Śrāvakabhūmi of the Yogācārbhūmi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이윤옥(Lee, Yoon-ok)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21호, 57~95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의의 원류는 아비달마불교로서, 논서 중 가장 오래된 『법온족론』에서 처음으로 추중과 경안이 서로 관련되어 7각지 중에 나타난다. 아비달마 논서에서 전의는 함축적으로 추중의 배제와 경안의 획득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유가론』의 「성문지」에서는 전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所依의 변화와 깨달음의 과정이 전개되고 있다. 「성문지」의 전의 개념은 기본적으로 추중과 경안 사이의 교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성문지」에서 전의는 '변모'한다는 의미로서 신체와 정신이 질적으로 변화하는 것이고, '변화'를 통해서 부정해야 할 것을 없애고 긍정해야 할 것을 얻는 것이다. 특히 산스크리트의 논서 중에 「성문지」, 「보살지」, 『아비달마집론』은 'āśrayaparivrtti'라는 형태가 사용되고, 『대승장엄경론』과 『중변분별론석소』에는 'āśrayaparivrtti와 'āśrayaparivrtti'의 두 가지 형태가 나타나고 있는데, 용어이 차이는 없다고 본다. 소의청정은 유가행자의 몸과 마음의 변화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소의청정은 샤마타와 비파샤나수행에 기초한 유가행의 신체적·정신적인 전의를 뜻하며, 유가행자가 소지사에 대한 직접지각을 방해하는 추중의 소멸과 경안을 획득하는 것이다. 「성문지」의 5종의 예비적 수행에서는 샤마타와 비파샤나를 교대로 반복하고 수습함으로써 현상적인 相(nimitta)을 명료히 하는 과정에서 유가행자는 심일경성과 신심경안을 얻게 된다. 그리고 전의를 획득하였을 때 소지사에 대한 직접지각(現量)이 발생하는 것이다. 제2유가처의 소의멸과 소의전은 유가행을 실천함으로써 추중과 결합된 옛 소의가 소멸하고, 경안을 갖춘 새로운 소의로 점차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성문지」제2유가처의 변만소연중에 소작성판은 제3유가처의 예비적 수행의 전의 개념보다 더욱 발전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of āśrayaparivrtti(transformation of the basis) originated from the Abhidharma literature. By way of example, praśrabdhi(calmness) in relation to dausthulya(defilements) is described in the Dharmaskandha as one of the seven factors of enlightenments. So far, āśrayaparivrtti can be understood as removsal of dausthulya and attainment of praśrabdhi. In contrast, the term āśrayaparivrtti in the Srāvaksbhūmi of the Yogācārabhūmi implies the transformation of the basis and process of enlightenment. The procedure can be described as the transformation of the basis. The meaning of āśrayaparivrtti in the Śrāvaksbhūmi is 'transformation', which is a fundamental change of body and mind, thereby the negative qualities are eliminated and the positive qualities are attained. In the Śrāvaksbhūmi, the Bodhisattvabhūmi and the Abhidharmasamucaya, only the term, āśrayaparivrtti is used. On the other hand, in the Mahāyānasūtrālamkāra and the Madhyāntavibhāgarīkā both terms, āśrayaparivrtti and āśrayaparivrtti are used. However ,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rms. The transformation of the Yogācāra practitioner's body and mind is called āśrayapariśuddhi. It refers to the physical and mental transformation based on the Yogācāra practice of śamatha and vipaśyanā. Thereby, the Yogācāra practitioner eliminates dausthulya which hinders correct cognition, and attains praśrabdhi. In the five kinds of preliminary practice of Śrāvaksbhūmi, the yogācāra practitioner alternates between śamatha and vipaśyanā to get a clear nimitta until he attains the single pointed concentration and the calmness of body and mind. When he finally attains āśrayaparivrtti, the direct knowledge of things will be generated. In the second stage of the yogācāra practice, the practitioner engages in the cessation of the basi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basis; thereby the old basis combined with defilements is removed and gradually replaced by a new one joined with calmness. In particular, the perfection of supernatural acts of objects concentrated in the second Yogācāra state of the Śrāvakabhūmi can be considered a further developed form in the third Yogācāra state.

목차

Ⅰ. 서론
Ⅱ. 아비달마논서에 나타난 轉依 개념의 전 단계
Ⅲ. 「聲聞」에서 전의 개념의 발전과정
Ⅳ. 결론
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옥(Lee, Yoon-ok). (2008).『瑜伽師地論』의 「聲聞地」에서의 轉依 개념. 불교학연구, (21), 57-95

MLA

이윤옥(Lee, Yoon-ok). "『瑜伽師地論』의 「聲聞地」에서의 轉依 개념." 불교학연구, .21(2008): 57-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