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팀 수준에서의 직무갈등과 관계갈등

이용수 914

영문명
Task Conflict and Relation Conflict in Teams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성양경(Yangkyong Sung) 김명언(Myung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73~10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4.0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 기업 조직의 팀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에 대한 연구로,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첫째는 팀 내에서 발생하는 직무갈등과 관계갈등이 팀 구성원들 간의 업무처리방식과 성격의 차이에서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갈등으로 지각되는 과정에서 차이를 존중하는 집단규범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로 하나의 갈등이 다른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의 전이를 팀 구성원의 차이와 지각된 갈등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고, 이 때 팀 구성원간의 신뢰가 갈등의 전이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직에서 팀 단위로 일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86명, 78개 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 문항은 업무처리방식의 차이와 성격의 차이,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직무갈등과 관계갈등, 차이를 존중하는 팀의 집단규범, 팀의 신뢰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팀 구성원들의 업무처리방식과 성격의 차이가 각각 직무갈등과 관계갈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가 갈등으로 지각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업무처리방식과 성격차이를 존중하는 집단규범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갈등의 전이를 "낮은 업무처리방식의 차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무갈등이 높게 나타나거나, 낮은 성격차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계갈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지각된 갈등과 팀 구성원 간의 개인특성변수에서의 차이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 결과, 갈등의 전이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갈등의 전이에 팀 신뢰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신뢰가 높은 팀에서 긍정적인 방향의 갈등의 전이가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과, 실용적 함의를 논하였고, 제한점 및 추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s many organizations adopt team-based structure, there rises the need for understanding conflict in teams. On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task conflict and relation conflict could be occurred by working style difference and personality difference among team members respectively, and explore the effect of group norm which is expected to ha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ces among team members and perceived conflicts.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lausible transference of conflict by comparing the existing differences among team members and team members" perceived conflicts, and the effect of team trust on the transference of conflict. Survey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and 386 people of 78 teams from 22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team members" working style difference and personality difference affect task conflict and relation conflic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ffect of group norm that respects differences in working style preference and personality difference among peopl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s and perceived conflicts. Also, this study confirmed the transference of conflict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s by comparing team members" existing differences and perceived conflicts. In addition, the hypothe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team trust on the transference of conflict was partially supported.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In addition, the limitations and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의 설정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종합 논의
참고문헌
부록. 설문문항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양경(Yangkyong Sung),김명언(Myungun Kim). (2006).팀 수준에서의 직무갈등과 관계갈등.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006 (1), 73-107

MLA

성양경(Yangkyong Sung),김명언(Myungun Kim). "팀 수준에서의 직무갈등과 관계갈등."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006.1(2006): 73-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