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적법절차의 발전과 대서양 세계의 법문화 - 미국헌법 수정조항 제5조를 중심으로

이용수 204

영문명
The Making of Due Process of Law in the Trans-Atlantic World: The Magna Carta and the Fifth Amendment
발행기관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저자명
趙志衡(Cho Ji Hyung)
간행물 정보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14卷 第2號, 283~31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7.0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체적 적법절차를 중심으로 1215년의 대헌장에서 미국헌법 수정조항 제5조에 이르기까지 적법절차의 개념적 발전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적법절차는 흔히 절차적 적법절차와 실체적 적법절차로 구분되고 후자는 전자보다 나중에 등장하는 파생적 개념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처음 적법절차의 개념이 등장했던 대헌장의 제39조에 이미 실체적 적법절차의 이념이 ‘이 나라의 법’이라는 언어를 통해 존재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 발전과정을 보여준다. 17세기 중반 에드워드 코크에 의해 이 나라의 법이라는 개념이 적법절차와 동일하게 치환되었다.
  북아메리카에 영국 식민지가 건설되면서, 영국인의 권리와 함께 적법절차의 개념도 도입되었다. 식민지인들은 자신들의 영국인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적법절차의 개념을 지방화하는 동시에 대헌장과 에드워드 코크의 권위 그리고 근본법의 개념에 의존했다. 미국혁명에 임박하여, 윌리엄 블랙스톤의 의회만능주의가 도입되었지만 실체적 적법절차의 개념을 소멸시키지는 못하였다. 미국혁명은 근본법의 정신과 실체적 적법절차의 개념을 강화시켰다. 적법절차의 개념을 잉태했던 영국에서는 의회만능주의가 만연하게 되었던 반면, 영국 식민지에서는 의회만능주의가 배격되고 실체적 적법절차의 이념이 혁명 정신의 일환으로 발전했던 것이다.
  미국헌법 수정조항 제5조의 제정으로 적법절차의 개념이 헌법화되었다. 수정조항 제5조의 입헌취지에 대한 역사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명확히 구명되기 어렵다. 그러나 적법절차에 대한 알렉산더 해밀턴의 설명을 검토해보면, 실체적 개념이 분명히 존재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연방대법원에서 실체적 적법절차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성문헌법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법제도적이며 법문화적인 걸림돌이 해소되어야 했다. 이에 비해, 주 대법원에서는 이내 실체적 적법절차가 분명하게 적용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evolution of due process of law, with special regards to substantive due process. Critics of substantive due process have insisted that the concept of due process was initially a guarantee of procedural regularity and that judges invented a substantive reading of due process during the post-Civil War period. The “law of the land” of Chapter 39 of the Magna Carta, however, is comprehensive to embrace substantive as well as procedural safeguards against arbitrary royal command.
  In the mid-fourteenth century, the phrase of "due process of law" was first used by Parliament to confine the king"s council to the usual procedures of the common law. In some statutes, the term of “process” referred to writs of the common law. But the usage of “due process of law” and “process” does not mean that the concept of law in the phrase of “the law of the land” does not embrace substantive as well as procedural components since the statutes used the phrases of “old law” and “writ original” at the common law.
  In the mid seventeenth century, in his Institutes of the Laws of England, Sir Edward Coke first argued that “the law of the land” and “due process of law” had the same meaning. His higher-law interpretation on Chapter 39 prevailed in the co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American colonies. By provincializing the "law of the land," the colonies required the published law of the province to answer by due process of law substantively as well as procedurally. Additionally,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American colonists resorted to the Great Charter in their struggles with the King of England and Parliament over the power to tax, since they believed the Charter as substantive safeguards against arbitrary powers. As natural law limits on the powers of government were commonly assumed, the American colonists denounced parliamentary supremacy argued by Sir William Blackstone and paved a road to the revolution.
  This paper considers Alexander Hamilton’s comments on due process of law in the New York legislature in 1787 as formidable, if not conclusive, evidence for substantive components of the Fifth Amendment. In fact, there is no clue in the words of James Madison, who introduced the Fifth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to show that it embraced substantive components. Also there is no debate on the due process of law clause in the first federal Congress. Besides, the state constitutions and laws except New York had used the phrase of “the law of the land” instead of “due process of law.” This leaves inferences about the framers’ intent on the Fifth Amendment to be drawn from circumstances rather than analysis of direct evidence in the Congress. It was New York who proposed the term of “due process of law” for the Fifth Amendment in its 1787 state bill of rights. Eleven days after the adoption of the state bill of rights, Hamilton clearly defended his substantive reading of due process of law in 1787, while opposing a pending bill to disqualify former privateers from holding public office.

목차

Ⅰ. 서론
Ⅱ. 대헌장 제39장과 에드워드 코크
Ⅲ. 북아메리카 영국 식민지와 윌리엄 블랙스톤
Ⅳ. 건국 초기의 사건과 연방헌법 수정조항 제5조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趙志衡(Cho Ji Hyung). (2008).적법절차의 발전과 대서양 세계의 법문화 - 미국헌법 수정조항 제5조를 중심으로. 세계헌법연구, 14 (2), 283-314

MLA

趙志衡(Cho Ji Hyung). "적법절차의 발전과 대서양 세계의 법문화 - 미국헌법 수정조항 제5조를 중심으로." 세계헌법연구, 14.2(2008): 283-3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