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ost-김정일 체제 전망 - 후계자 문제를 중심으로

이용수 172

영문명
The Prospect of Post-Kim Jong Il Regime: Focused on the Successor Issue
발행기관
북한학회
저자명
정성장(Cheong Seong-Chang)
간행물 정보
『북한학보』北韓學報 第33輯 1號, 9~4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북한은 수령의 후계자를 ‘새 세대의 인물’ 가운데서 선출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해오고 있는 가운데, 이에 더해서 ‘3대세습’을 정당화하는 논리들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김정일이 앞으로도 오래 권좌에 머물러 있으면 그의 후계자는 그의 아들들 가운데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김정일의 세 아틀 중 성혜림에게서 태어난 ‘장남’ 김정남은 김정일의 ‘숨겨진 아들’로 성장하여 북한 지도부에서 강력한 후견자도 중요한 지지 세력도 형성하지 못하였다. 반면 김정일과 고영희 사이에서 태어난 김정철은 스위스 유학 후 당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고영희의 생존 시 그의 지원에 의해 당내 중요한 지지기반을 가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대다수 연구자들이 동의하는 바와 같이 post-김정일 체제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변수는 김정일의 생존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김정일이 앞으로 4~5년 권좌를 계속 현재와 같이 유지한다면 그와 김정철(또는 김정운)이 공동통치하는 시대가 개막될 것으로 전망된다. 후계자 지명과 관련하여 특히 김일성 탄생 100주년, 김정일의 나이가 70세가 되는 2012년이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김정일이 4~5년 내에 갑자기 자연사하는 경우 북한 지도부 내에서 어느 누구도 김정일에 버금가는 권력과 카리스마를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집단지도체제가 들어설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김정남은 북한 지도부 내에서 전혀 지지기반이 없기 때문에 후계자로 지명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 당내 다른 인물들에 비해 측근들을 가지고 있는 장성택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가 맡고 있는 당중앙위원회 행정부는 군대를 지도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권력의 향배는 각기 군사와 본부당을 담당하고 있는 리용철, 리제강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 누구의 손을 들어주느냐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누가 권력을 장악하든 간에 북한 지도부 내에서 권력투쟁이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하며. post-김정일 체제에서도 장기간 군부가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영문 초록

  North Korea has held its standpoint that the successor of Suryong (supreme leader) must be chosen among "the figures in the new generation," while additionally stressing the ideologies and logics to justify "the succession in the third generation." Therefore, Kim long Il"s successor will most likely be decided on one of his sons, if he could survive in his seat for a long time in the future.
  Kim Jong Nam, "the eldest son" among the three sons of Kim Jong Il and born from Song Hye Rim, grew up as a "hidden son" of Kim, so he has not had enough chance to gather influential guardians for him or develop his supporting powers. On the contrary, Kim Jong Chol, born between Kim Jong Il and Ko Yong Hui, is assumed to be working in the Organization and Guidance Department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WPK (Workers" Party of Korea) after he studied in Switzerland and he also seemed to succeed in founding his political supporting background with his mother" s full support while she was alive.
  As agreed with most of the North Korea researchers, "Kim"s survival period" is the most critical variable concerning post-Kim Jong Il regime in North Korea. If Kim still sits on his throne after 4~5 years, we are likely to meet the era of joint ruling by Kim Jong Il and his son, Kim Jong Chol (or Kim Jong Un). The most important moment of naming the successor of Kim may take place in 2012, when it is the 100th anniversary of Kim Il Sung"s birth and the year of Kim Jong Il"s 70th birthday.
  If Kim Jong Il dies a natural death within 4~5 years, the most probable type of the North Korean regime would be a "collective ruling system," for no one has the absolute power and charisma like those of Kim Jong Il in the present North Korea. In this case, Kim Jong Nam, who has no political support in the North Korean ruling class, scarcely has an opportunity to be designated as Kim"s successor. Jang Song Taek seems to occupy a comparatively positive position than the other figures in the Party, due to having close aides however, he is also facing the limitation that the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the WPK Central Committee(WPKCC), which he is in charge of, has no authority to control the army. So the casting votes held by Ri Yong Chol and Ri Je Gang, first vice directors of Organization and Guidance Department of the WPKCC in charge of the army and the party headquarter respectively, will possibly steer the wheel of power in North Korea.
  Whoever rises to the seat of power, it is impossible to avoid inner power struggle, and the army will continuously have huge influence on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in the post-Kim Jong Il regime.

목차

〈논문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후계자론과 ‘3대세습’에 대한 북한의 입장
Ⅲ. 후계자군(群)의 분석
Ⅳ. 맺음말: post-김정일 체제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장(Cheong Seong-Chang). (2008).Post-김정일 체제 전망 - 후계자 문제를 중심으로. 북한학보, 33 (1), 9-40

MLA

정성장(Cheong Seong-Chang). "Post-김정일 체제 전망 - 후계자 문제를 중심으로." 북한학보, 33.1(2008): 9-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