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감정노동과 직무상황이 서비스 종업원들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827

영문명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Context On Service Employees" Psychological Well-Being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김상표(Kim Sang-Pyo) 이덕로(Lee Deog-Ro)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15권 제2호, 79~10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비스 종업원들이 감정노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정자원을 노동과정에 투입해야만 한다. 그런데 개인의 감정은 자아와 분리될 수 없고 밀접히 맞물려 있기 때문에, 서비스 종업원들은 육체노동이나 정신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들보다 자아의 심리적 안녕에 심각한 위협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논문의 목적은 감정노동과 직무상황이 서비스 종업원의 심리적 안녕을 측정하는 두 가지 지표인 감정고갈과 감정소외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감정노동 수행전략으로는 반응-중심 감정노동전략을, 그리고 직무상황 요인으로는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고객의 상호작용 통제력, 상사지원 등 네 가지를 연구에 포함하였다. 우리나라 4개 호텔에 근무하는 서비스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4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중심 감정조절전략이 서비스 종업원의 감정고갈 및 감정소외에 정(正)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직무요구는 감정고갈과 감정소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직무자율성은 감정소외에 부(負)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직무상황 요인들 중 특히 고객의 상호작용 통제력은 반응-중심 감정조절전략의 감정고갈과 감정소외에 대한 부의 효과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상사지원은 반응-중심 감정조절전략의 감정고갈에 대한 부의 효과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반응-중심 감정조절전략이 기본적으로 서비스 종업원의 심리적 안녕을 위협하는 요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기업은 무엇보다도 서비스 종업원들을 과도한 직무요구로 압박하는 것을 피하고 그들에게 고객과 직무 양 측면에서 의사결정권한을 부여하며 상사지원이 가능한 직무상황을 제공해주려고 노력함으로써, 개인의 안녕과 조직의 이익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investigation had two purposes. The first purpose wa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emotional labor(e.g.,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and job context(e.g., job demand, job autonomy, interaction control, supervisory support) on service employees" psychological well-being(e.g., emotional exhaustion, emotional estrangement). The second purpose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and job context on their emotional exhaustion and emotional estrangement. To test these research purposes, we collected data from service employees in 4 Korean Hotels. Based on 248 completed surveys, we conducted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5.0.
  The result showed that, as expected,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and job demand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exhaustion and emotional estrangement. In addition, job autonomy was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al estrangement.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facilitated or buffered by job context. For example, interaction control which is a kind of job stressors harmonized with emotional labor to create higher emotional exhaustion and estrangement, whereas supervisory support which is a kind of job resources buffered relationship of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with emotional exhaustion.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further research on emotional labor we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 가설의 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토론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표(Kim Sang-Pyo),이덕로(Lee Deog-Ro). (2008).감정노동과 직무상황이 서비스 종업원들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15 (2), 79-102

MLA

김상표(Kim Sang-Pyo),이덕로(Lee Deog-Ro). "감정노동과 직무상황이 서비스 종업원들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15.2(2008): 79-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