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은한시의 시어와 그 쓰임새
이용수 118
- 영문명
- the usage of the poetic words in A Collection of Poeun"s Writings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저자명
- 홍순석(Hong Soon-Seuk)
- 간행물 정보
- 『포은학연구』제1집, 185~22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0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포은선생집』소재 한시작품을 DB화하여 포은 한시의 시어와 그 쓰임새를 고찰한 것이다. 포은 시에 사용된 詩語와 用字를 분석한 다음, 빈도수가 높은 詩語와 用字를 추출하여, 제가의 시평과 기존 연구성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포은 시에서 빈도수가 높게 사용된 시어는 ‘天子’ ‘春風’ ‘光陰’ ‘平生’ ‘江南’ ‘千里’ ‘風流’ ‘豪氣’ 등이다. 이들 시어만으로도 포은의 시세계를 가늠할 수 있다. 포은의 시어 가운데 使行과 관련된 것이 124개나 된다. ‘王事’ ‘陪臣’ ‘使臣’ ‘朝臣’ ‘漢臣’ ‘使節’ ‘玉節’ ‘持節’ ‘驛亭’ ‘郵亭’ 등도 비중 있게 쓰였는데, 이 역시 使行에 관련한 시어이다.
포은 시에서 추출된 用字를 意味網으로 재분류하면 ‘行’ ‘遊’ ‘客’/‘歸’ ‘還’ ‘鄕’/ ‘獨’ ‘愁’ ‘孤’ 등이 사용 빈도가 높다. ‘行’ ‘遊’ ‘客’은 ‘떠돌다’는 의미망의 用字로 포은의 삶과 시세계를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用字이다. ‘歸’ ‘還’은 ‘돌아오다’는 의미망의 用字로 ‘鄕’과 어울려 ‘歸鄕’ ‘還鄕’을 의미한다. 포은 시에서 표출된 ‘歸鄕意識’을 실증하는 用字이다.
포은 시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인 시어는 ‘春風’인데 21회나 사용되었다. 포은은 봄의 情緖에 각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포은에게 있어 ‘春’은 많은 생각을 일게 하는 촉매이다. 객지에서의 봄은 친구와 고향을 생각하게 하고, 歸去來에의 갈망을 고조시킨다. ‘春愁’를 못내 겨워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春’과 함께 쓰인 ‘雨’ ‘梅花’도 포은의 시적정서를 대표하는 사물이다. 포은 시에서 매화는 자신의 형상으로 표출되기도 하며, 자신의 심정을 위로해 줄 수 있는 대상으로 형상화 된다.
포은 시에서 특별히 관심을 끄는 것은 ‘豪’자이다. 제가들이 포은 시의 품격을 평하면서 ‘豪傑’ ‘豪傑’ ‘豪邁’ ‘豪放’ ‘豪壯’ ‘豪暢’ ‘豪宕’ 등의 평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의 시에서 ‘豪’자의 빈도수가 높다는 것은 우연만은 아닐 듯싶다. 포은의 豪邁한 성품과 시에 나타난 ‘豪氣’는 포은 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관건이 된다. 포은이 왜구의 침입 때마다 從軍하여 戰場을 떠돌아야 했고, 일본 중국 使行으로 평생 떠도는 나그네가 되어야 했던 것은, 바로 타고난 ‘豪氣’ 때문인 것이다.
포은 시에서 빈도수가 높게 사용된 시어는 ‘天子’ ‘春風’ ‘光陰’ ‘平生’ ‘江南’ ‘千里’ ‘風流’ ‘豪氣’ 등이다. 이들 시어만으로도 포은의 시세계를 가늠할 수 있다. 포은의 시어 가운데 使行과 관련된 것이 124개나 된다. ‘王事’ ‘陪臣’ ‘使臣’ ‘朝臣’ ‘漢臣’ ‘使節’ ‘玉節’ ‘持節’ ‘驛亭’ ‘郵亭’ 등도 비중 있게 쓰였는데, 이 역시 使行에 관련한 시어이다.
포은 시에서 추출된 用字를 意味網으로 재분류하면 ‘行’ ‘遊’ ‘客’/‘歸’ ‘還’ ‘鄕’/ ‘獨’ ‘愁’ ‘孤’ 등이 사용 빈도가 높다. ‘行’ ‘遊’ ‘客’은 ‘떠돌다’는 의미망의 用字로 포은의 삶과 시세계를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用字이다. ‘歸’ ‘還’은 ‘돌아오다’는 의미망의 用字로 ‘鄕’과 어울려 ‘歸鄕’ ‘還鄕’을 의미한다. 포은 시에서 표출된 ‘歸鄕意識’을 실증하는 用字이다.
포은 시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인 시어는 ‘春風’인데 21회나 사용되었다. 포은은 봄의 情緖에 각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포은에게 있어 ‘春’은 많은 생각을 일게 하는 촉매이다. 객지에서의 봄은 친구와 고향을 생각하게 하고, 歸去來에의 갈망을 고조시킨다. ‘春愁’를 못내 겨워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春’과 함께 쓰인 ‘雨’ ‘梅花’도 포은의 시적정서를 대표하는 사물이다. 포은 시에서 매화는 자신의 형상으로 표출되기도 하며, 자신의 심정을 위로해 줄 수 있는 대상으로 형상화 된다.
포은 시에서 특별히 관심을 끄는 것은 ‘豪’자이다. 제가들이 포은 시의 품격을 평하면서 ‘豪傑’ ‘豪傑’ ‘豪邁’ ‘豪放’ ‘豪壯’ ‘豪暢’ ‘豪宕’ 등의 평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의 시에서 ‘豪’자의 빈도수가 높다는 것은 우연만은 아닐 듯싶다. 포은의 豪邁한 성품과 시에 나타난 ‘豪氣’는 포은 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관건이 된다. 포은이 왜구의 침입 때마다 從軍하여 戰場을 떠돌아야 했고, 일본 중국 使行으로 평생 떠도는 나그네가 되어야 했던 것은, 바로 타고난 ‘豪氣’ 때문인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essay aims to put the Chinese poems in A Collection of Poeun"s Writings into a database and to explore the usage of the poetic words. First, we make an analysis of the poetic words, and then, select the frequently used words out of them. On the basis of that study, we finally do a logicality survey of the other critics" criticism.
The frequently used words in Poeun"s Chinese poems are "Chonja"(天子), “Chunpung"(春風), ”Kwangeum"(光陰), “Pyungsaeng"(平生), "Gangnam" (江南), “Cholree"(千里), "Poongryu"(風流), "Hogi"(豪氣). We can weigh Poeun"s poetic world with just these words. As many as 124 diplomatic visit-related words appear in the poems. "Wangsa"(王事), "Baeshin"(陪臣), "Sashin"(使臣), "Joshin"(朝臣), "Hanshin"(漢臣), "Sajol"(使節), "Okjol" (玉節), "Jijeol"(持節) belong to the same diplomatic visit-related word group.
If we choose the most frequently word in Poeun"s poems, it will be "Chunpoong"(春風). The word appears in 21 places. Thus, we can find that Poeun has a special interest in the spring sentiments. For Poeun, the poetic word of "Chun"(春) takes an active role of catalyst to inspire many sentiments.
"Ho"(豪) is also worthy of attention as one of the frequently used words. Many critics use "Hogul"(豪傑), "Hobang"(豪放), "Hojang"(豪壯) to comment on Poeun"s poems. Such unity is not a mere accident. Poeun"s valiant character and heroic poetic style are the key to understanding his poems.
The frequently used words in Poeun"s Chinese poems are "Chonja"(天子), “Chunpung"(春風), ”Kwangeum"(光陰), “Pyungsaeng"(平生), "Gangnam" (江南), “Cholree"(千里), "Poongryu"(風流), "Hogi"(豪氣). We can weigh Poeun"s poetic world with just these words. As many as 124 diplomatic visit-related words appear in the poems. "Wangsa"(王事), "Baeshin"(陪臣), "Sashin"(使臣), "Joshin"(朝臣), "Hanshin"(漢臣), "Sajol"(使節), "Okjol" (玉節), "Jijeol"(持節) belong to the same diplomatic visit-related word group.
If we choose the most frequently word in Poeun"s poems, it will be "Chunpoong"(春風). The word appears in 21 places. Thus, we can find that Poeun has a special interest in the spring sentiments. For Poeun, the poetic word of "Chun"(春) takes an active role of catalyst to inspire many sentiments.
"Ho"(豪) is also worthy of attention as one of the frequently used words. Many critics use "Hogul"(豪傑), "Hobang"(豪放), "Hojang"(豪壯) to comment on Poeun"s poems. Such unity is not a mere accident. Poeun"s valiant character and heroic poetic style are the key to understanding his poems.
목차
〈국문초록〉
1. 序言
2. 圃隱漢詩의 詩語ㆍ用字 分析
3. 圃隱漢詩의 詩語ㆍ用字의 쓰임새
4. 結言
참고문헌
〈Abstract〉
1. 序言
2. 圃隱漢詩의 詩語ㆍ用字 分析
3. 圃隱漢詩의 詩語ㆍ用字의 쓰임새
4. 結言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념특강 - 포은 정몽주선생의 사상과 학문의 연구방향
- 격려사 - 포은선생의 참모습을 국가의 장래와 결부시켜서 재해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포은선생의 사상과 학문을 바탕으로 한국학의 정체성 확립
- 기본조사자료 3 : 圃隱先生 日本使行 關聯 文獻資料
- 포은한시의 시어와 그 쓰임새
- 鄭夢周의 明 使行에 나타난 外交的 疏通 方式
- 圃隱 鄭夢周의 學問觀
- 祝辭 - 포은학 연구를 통해 국민정서 함양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
- 圃隱 鄭夢周의 節義와 文學的 形象化
- 高麗末 親明外交와 圃隱 鄭夢周의 外交觀 - 恭愍王~禑王初를 중심으로
- 기본조사자료 1 : 고려말 대일본 관계와 포은 정몽주
- 조사개요 외
- 포은학회 휘보 외
- 인사말 - 포은선생의 부활을 꿈꾼다
- 화보
- 기본조사자료 2 : 여말선초 두 지식인의 일본 체험 - 鄭夢周와 申叔舟의 한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