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鄭夢周의 明 使行에 나타난 外交的 疏通 方式

이용수 151

영문명
Ways of Diplomatic Communication in Jeong Mong-ju’s Envoys to the Ming(明)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엄경흠(Um Gyoung-Huem)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제1집, 159~18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0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외교는 국제 사회의 교섭을 위한 소통 행위다. 이에는 언어적 소통과 비언어적 소통이 모두 포함된다. 과거 동아시아 외교에 있어서 사신은왕의 傳言인 표문과 조칙을 전하는 소통의 경로였다. 그러나 사신은 능동적인 외교관으로서의 능력을 반드시 갖춘 외교 행위의 주체가 되어야 했다.
  현대 외교에서의 외교적 소통 행위와는 다르게 과거의 외교에 있어서 요구되는 언어적 비언어적 소통 외에 중요한 하나는 문자적 소통인 贈詩였다.
  정몽주는 明 太祖와의 대화를 통한 언어적 소통에서 인상관리 전략과, 명과 황제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호소 및 정확한 논리적 근거의 제시를 통해 외교적 성과를 이루어 내고 있다.
  그리고 그는 명 외교 의례에의 참여는 고려가 국제 관계에서의 교섭에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하게 된 것으로 이해하고 이에 적극적으로 응하고 있다.
  과거 사행에서 사람들과의 관계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황제. 둘째, 관리. 셋째, 일행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들과의 소통은 다시 지위별로 구분할 수 있으니 첫째, 황제와의 소통인 상향형. 둘째, 관리와 여타 중국인들과의 소통인 수평형. 셋째, 일행과의 소통인 하향형이 그것이다.
  정몽주는 첫째, 상향형 시적 소통을 통해 고려와 명과의 관계를 개선하여야 한다는 욕구를 표현하고 있다. 둘째, 수평형 시적 소통을 통해 외교적 소통과 비외교적 소통 욕구를 동시에 표현하고 있다. 외교적 소통은 관리들과의 관계를 통한 외교 행위를 위한 것이며, 비외교적 소통은 사행을 통한 개인의 욕구 충족을 위한 것이다. 셋째, 하향형 시적소통을 통해 사행의 원활을 도모하고 있다.

영문 초록

  Diplomacy is an act of communication for the relationship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ncludes both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East-Asian diplomacy in the past, envoys are a channel conveying royal messages and edicts. Yet, envoys should be a main agent of diplomatic activities with the capacity of an active diplomat.
  Unlike modern diplomatic acts of communication, an important requirement in the past diplomacy was literal communication of presenting poems beside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Jeong Mong-ju obtained diplomatic results through verbal communication including impression management strategies, appeals to the identity of the Ming(明) and its emperor and presentation of accurate logical bases in conversation with the first Emperor of the Ming.
  In addition, he understood that through his attendance at the diplomatic ceremonies of the Ming-dynasty, Goryeo c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so, he positively attended them.
  In the past diplomatic activitie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that with the emperor, with government officials and with attendants. And in turn, their communication is classified on the basis of position. These are the upward communication with the emperor, the horizontal one with public officials and other Chinese, and the downward one with attendants.
  First, Jeong Mong-ju expressed his desir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Ming through the upward poetic communication. Second, he revealed both diplomatic and non-diplomatic communicative needs through the horizontal poetic communication. Diplomatic communication was for the relationship with public officials and non-diplomatic one for the satisfaction of his personal needs through diplomatic missions. Third, he planned to facilitate diplomatic activities through the downward poetic communic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序論
Ⅱ. 疏通 方式
Ⅲ.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경흠(Um Gyoung-Huem). (2007).鄭夢周의 明 使行에 나타난 外交的 疏通 方式. 포은학연구, 1 , 159-183

MLA

엄경흠(Um Gyoung-Huem). "鄭夢周의 明 使行에 나타난 外交的 疏通 方式." 포은학연구, 1.(2007): 159-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