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가행파의 영상유식관법

이용수 366

영문명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ation in the Yogācāra school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인경(InKyung)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29輯, 189~22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2.28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유식불교의 구체적인 수행법이 무엇인지를 탐색한다. 필자는 유식불교의 수행법을 영상을 떠올려서 관찰하는 ‘영상유식관법’ 이라고 규정한다. 이때 전통적인 지관수행은 분별이 없는 영상이 대상될 때는 사마타로, 분별이 있는 영상을 대상으로 할 때는 비파샤나로 해석한다.
  이런 영상유식관법은 대체로 무착의 저술로 인정되는 『유가사지론』, 『현양성교론』, 『아비달마집논』등에서 발견되고, 중국에서는 현장의 제자인 원측의 『해심밀경소』와 규기의 『성유식론술기』, 티베트에서 ?카파의 『보리도차제광론』에서도 역시 찾아볼 수가 있다.
  『유가사지론』에서는 영상유식관법의 과정은 교법의 청문→승해→영상현전→지관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고에서는 영상을 떠올리는 현현의 작용으로 승해를 이해하는 견해를 비판한다. 승해는 외적인 사물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의 결과로서 영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구성된 영상을 명상대상으로 마음속에 떠올리는 작의는 정념에 속한다. 정념은 닮은 영상을 면전에 확립하는 강력한 주의집중 상태를 의미한다.
  승해와 정념을 비교하면, 승해는 외적인 사물을 전제로 한 반면에 정념은 내적인 유식의 대상으로서 영상에 초점을 맞추고, 승해의 대상은 주로 자상으로서 매우 선명하지만 무상함을 그 특징으로 하고, 정념의 대상이 되는 영상은 주의집중이 따라서 선명성과 영속성을 달리한다.
  영상유식관법의 결과는 어두운 품격에서 밝은 품격에로의 전환이며, 그 통찰내용은 사물의 본질이 본래 존재하지 않음을 분명하게 아는 것이며, 영상을 반복적으로 떠올려서 욕탐과 같은 번뇌를 끊는 작용, 욕탐을 끊어 다시 생겨나지 않음을 체득하는 도리, 응당 법이 그러함을 철저하게 보는 도리가 그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consider what is typically the practical method of Vij??ptimatra Buddhism. I define it as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ation(IBMM) that is to observe reflected images(prtibimba) come up to the surface of our mind. There are two kinds of reflected images; the first is the meditative object of discerning(vipa?yana), the second is the meditative object of calming(?amatha)
  An aspect of IBMM is found in Asnga"s works: Yogacarabhumi, Abhidharmasamuccaya, Mahayanasamgraha, and in K"uei Ch"s commentary on Ch"eng Wei-shih Lun of Hsuan Tsang, Wonchug"s Samdhinirmocana-sutra-bhasya and also in Tson-kha-pa"s Lam Rim Chen Mo.
  The process of IBMM is explained in the Yogacarabhumi. That is the system of five steps; the hearing on Buddha"s Teaching, the clear understanding of real things(adhimok?a), the rising of the reflected image(sm?ti), ?amatha and vipa?yana. In Samdhinirmocana-sutra-bhasya, Wonchug sets up that Substance is the thing that Buddha expounded, Image is the consciousness of living things that is about Buddha"s teachings. In Lam Rim Chen Mo, Tson-kha-pa defines that Image rising to our mind is not own-character(sva-laksana) but conceptual construction.
  In this paper, I try to argue for IBMM as follows. Firstly, the clear understanding of real things(adhimok?a) is not the practical step of coming up the selected image as the meditative object. It is only a kind of perceptual knowledge as the previous step of the actual practise. Secondly, the relationship of Substance and its resemble Image is an analogy between the body of human and its function. Thirdly, image as it appear to us is the universal that is regarded as the particular producing an effect in the real.

목차

국문 초록
Ⅰ. 머리말
Ⅱ. 정의와 문헌적 전거
Ⅲ. 과정과 절차
Ⅳ.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인경(InKyung). (2008).요가행파의 영상유식관법. 보조사상, 29 , 189-226

MLA

인경(InKyung). "요가행파의 영상유식관법." 보조사상, 29.(2008): 189-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