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요자 집단 및 성과지표별 영재교육 만족도 분석

이용수 344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Satisfaction on Gifted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영재교육학회
저자명
김미숙(Kim Mee Sook)
간행물 정보
『영재와 영재교육』제6권 제2호, 165~18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이후 본격화된 영재교육 강화 사업의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영재교육의 수요자인 영재학생 1,170명과 학부모 920명 등 총 2,090명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수요자 집단별로 총체적인 만족도를 분석하였을 뿐 아니라 세부적인 성과지표를 수립하여 지표별 그리고 다양한 변인별 수요자의 만족도를 분석 제시하였다.
  총만족도 점수‘는 5점 만점 척도에서 영재학생이 3.59점, 학부모가 3.76점의 수준이었으며, 성과지표에 따라서는 4.00점을 넘는 항목들도 있었다.
  영재학생의 경우 8개의 성과지표들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높은 순서대로 교사, 전반적 만족,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육효과, 평가, 교수학습 환경, 상담 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만족도는 12개의 성과지표로 측정되었는데, 높은 순서대로 교사,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전반적 만족, 교육효과, 평가, 선발, 영재교육기관 운영, 교수학습 환경, 상담, 학부모 및 지역사회 참여, 학부모 지원 서비스이었다. 한편 변인별로 총만족도 수준에서 또 각 변인과 성과지표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성과지표별 만족도 수준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각 수요자 집단별로 개선해야할 항목들이 발견되었다. 영재학생의 경우 교수학습 환경이나 상담 서비스 부분과 학부모의 경우 교수학습환경, 상담, 학부모 및 지역사회 참여, 학부모 지원 서비스 등이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개선이 필요함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itial results of gifted education implemen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roughout the country since 2003 when gifted education first began as a form of formal education. The 1,170 gifted students" and their 920 parents" responded to the satisfaction survey questionnaire which had 63 items for the gifted students and 90 items for the parents. The composite scores of total satisfaction were 3.59 for the gifted students and 3.76 for their parents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satisfaction scores of the gifted students were highest for teachers and lowest for counseling service, whereas those of their parents were highest for teachers and lowest for supporting service for parenting. A series of repeated measures of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the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satisfaction among the different indices of satisfaction as well as across the region, school levels, parent"s occupation, and so fort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some of the areas that should improve, which are learning environments, school facilities, counseling services, parental involvement and various supporting services for parenting.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숙(Kim Mee Sook). (2007).수요자 집단 및 성과지표별 영재교육 만족도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6 (2), 165-188

MLA

김미숙(Kim Mee Sook). "수요자 집단 및 성과지표별 영재교육 만족도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6.2(2007): 165-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