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의 사회공헌에 관한 시민인식
이용수 516
- 영문명
- Citizen’s Perception toward Corporate Philantrophy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이한준(Han-Joon Lee) 문형구(Hyung-Koo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6권 제2호, 261~2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0.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기업이 사회공헌을 통하여 소비자의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어떤 방법으로 어느 영역에서 사회 공헌 활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살펴보려 하였다. 가상적인 기업의 상황이 주어지고 그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는 본 연구의 실험에는 경영대학의 학부와 대학원 학생 175명이 참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업의 윤리성, 사회공헌 방법의 진정성, 기업의 특성과 사회공헌 분야의 일치성이 소비자의 태도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실험의 분석 결과는 소비자의 태도가 사회공헌을 하는 기업이 윤리적인 기업인 여부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진정성은 기업이 비윤리적 기업으로 판단될 때만이 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In an 2 × 2 × 2 between-subject experimental study, we investigat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corporate philanthropy can improve consumers’ attitude towards the corporation; (1) what kind of corporation conducts philanthropic activities (i.e. ethical versus unethical corporation), (2) how the corporation conducts the activities (i.e., sincere versus non-sincere way), and (3) where the corporation contributes its resources (i.e. congruence versus non-congruence between the corporation expertise and the area where the corporate resources spent). 175 undergraduate and graduate busines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se students evaluated a fictitious corporation that conducted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under a different con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ethicalness of the corporation conducting corporate philanthropy significantly influenced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corporation. In addition, sincerity and ethicalness showed the interaction effect. Namely, when the unethical corporation conducted the corporate philanthropy in a sincere manner,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corpora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when the ethical corporation conducted corporate philanthropy in a sincere manner,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corporation did not improve which was the ceiling effect.
목차
[글의 요약]
Ⅰ. 앞머리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Ⅰ. 앞머리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비영리연구』원고작성 및 투고요령
-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가 활동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동기추론이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기부대상영역에의 기부참여행동과 기부정기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슈퍼비전 실태와 직무관련 변인과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공익법인 지배구조의 현황과 법제도적 개선방안 - 사회복지법인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직무수행에 있어 멘토유무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 사회공헌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인식이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의 사회공헌에 관한 시민인식
- 한국에서 개인기부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틀의 한계와 보완방안에 대한 소고 - 1998-2004년의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