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슈퍼비전 실태와 직무관련 변인과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680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of Public Social Workers and Job-related Variables
발행기관
한국비영리학회
저자명
김교성(Kyo-Seong Kim) 황미경(Mee-Kyoung Hwang)
간행물 정보
『한국비영리연구』제6권 제2호, 217~260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방분권화 추세와 급변하는 사회복지 환경 속에서 복지대상자에게 최대의 행정서비스를 실천하기 위한 공공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전문성 강화 및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향의 근거를 탐색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에 공공 복지전달체계의 핵심 인력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환경과 조직환경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현재의 슈퍼비전 기능들이 매개하는 영향력을 제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에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서울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378명의 응답을 분석하여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직무환경과 조직환경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둘째, 직무환경, 조직환경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슈퍼비전이 중요한 매개기능을 함을 밝혔다. 이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환경, 조직환경에서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증진에 슈퍼비전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상호지원 기제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최근 사회복지학계에서 각 분야의 특성에 맞는 슈퍼비전 방법을 체계화하려는 노력과 더불어, 공공 사회복지조직에서 비공식적으로 수행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슈퍼비전을 조직차원에서 더욱 체계화시켜야 하는 근거를 제시할 뿐 아니라 슈퍼비전의 수행이 양적으로 확대되고 질적으로 충실화하려는 조직 차원에서 노력이 이루어질 때에 가능함을 밝혀 주었다. 그러므로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에 있어 슈퍼비전 체계의 마련과 공식화를 촉구하고 원활한 슈퍼비전을 통한 사회복지인력 관리 및 직무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explore evidential bases for policy directions and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also to strengthen professionalism of public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which are needed to effectuate the optimal social welfare administrative services in the midst of rapidly changing social welfare conditions and of decentralization taking place. With this objective, the study explores the current status of supervision for public social workers, the central figures in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then attempt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urrent supervision functions on the relationship of social worker‘s job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with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378 surveys used for the data analysis, had been filled out by supervisees. As the findings of the study, job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 on the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as job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influence the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upervision was found to play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This finding shows that supervision plays a critical role in improving the government employed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der current job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that supervision is a crucial interactional support mechanism. Above findings provide evidential needs to further systematize supervision provision for public social workers at organizational level which has so far been carried out in an informal manner. In addition, it provides evidence that the provision of proper supervision is only feasible when it is implemented with an organizational effort to expand quantitatively and improve qualitatively.

목차

[글의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교성(Kyo-Seong Kim),황미경(Mee-Kyoung Hwang). (2007).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슈퍼비전 실태와 직무관련 변인과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6 (2), 217-260

MLA

김교성(Kyo-Seong Kim),황미경(Mee-Kyoung Hwang).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슈퍼비전 실태와 직무관련 변인과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6.2(2007): 217-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