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익법인 지배구조의 현황과 법제도적 개선방안 - 사회복지법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544
- 영문명
- Governance of nonprofit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the legislative direction for its improvement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하승수(Seung-Soo Ha) 김현수(Hyeon-S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6권 제2호, 41~88쪽, 전체 4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0.30
8,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에서는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의 투명성ㆍ책임성과 관련해서 많은 문제제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복지법인의 부패, 불법행위 등이 여러차례 문제로 되면서 사회복지법인에 대한 신뢰를 깨뜨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복지법인의 지배구조를 개선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들이 제기되어 왔고, 정부는 그러한 사회적 요구들을 받아들여 사회복지법인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법 개정의 방향을 둘러싼 논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의 현황을 분석하고,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의 입법적 기준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둘러싼 논쟁의 쟁점들을 살펴보고, 앞서 모색한 입법적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복지사업법의 바람직한 개정방향에 대해 제안해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에서는 서로 충돌가능성이 있는 ‘사회복지법인의 공공성에 대한 요구’와 ‘사회복지법인의 자율성’이라고 하는 두 가지 가치의 조화를 제안한다. 이 두 가지 가치는 서로 충돌할 수 있지만, 이 두 가지를 조화시키는 것이야말로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와 관련된 입법의 과제라고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사회복지법인의 이사회는 좀 더 효과적으로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자나 대표이사를 감시ㆍ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헌법이 허용하는 테두리 안에서 개방형 이사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법인의 감사가 법인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방형 감사제의 도입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한다고 하더라도, 제도를 구체적으로 설계함에 있어서는 사회복지법인 운영의 자율성을 가능한 한 존중하는 방식으로 입법될 필요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복지법인의 지배구조를 개선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들이 제기되어 왔고, 정부는 그러한 사회적 요구들을 받아들여 사회복지법인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법 개정의 방향을 둘러싼 논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의 현황을 분석하고,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의 입법적 기준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둘러싼 논쟁의 쟁점들을 살펴보고, 앞서 모색한 입법적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복지사업법의 바람직한 개정방향에 대해 제안해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에서는 서로 충돌가능성이 있는 ‘사회복지법인의 공공성에 대한 요구’와 ‘사회복지법인의 자율성’이라고 하는 두 가지 가치의 조화를 제안한다. 이 두 가지 가치는 서로 충돌할 수 있지만, 이 두 가지를 조화시키는 것이야말로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와 관련된 입법의 과제라고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사회복지법인의 이사회는 좀 더 효과적으로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자나 대표이사를 감시ㆍ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헌법이 허용하는 테두리 안에서 개방형 이사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법인의 감사가 법인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방형 감사제의 도입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한다고 하더라도, 제도를 구체적으로 설계함에 있어서는 사회복지법인 운영의 자율성을 가능한 한 존중하는 방식으로 입법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Nonprofit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re facing various questions regarding it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 Korea. Many corruptions and illegalities have undermined the credibility of nonprofit social welfare corporation.
Korean civil society had demanded reform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governance. Recently the government tries to revise Social Welfare and Service Act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governance. And the debate is going on about the direction of the revision of the act.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governance and find the legislative standards regarding social welfare corporation’s governance. And this paper tries to find desirable direction of the revision of Social Welfare and Service Act.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e harmony of two conflicting values; public demand on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nd the freedom of the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e two values conflict with each other. But the destiny of legislation is matching a conflict.
In the concrete, board of directors needs to monitor the founder and CEO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more effectively. And the role of internal auditor needs to be enforced to increas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In the same breath, the freedom of the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needs to be respected as much as possible.
Korean civil society had demanded reform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governance. Recently the government tries to revise Social Welfare and Service Act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governance. And the debate is going on about the direction of the revision of the act.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governance and find the legislative standards regarding social welfare corporation’s governance. And this paper tries to find desirable direction of the revision of Social Welfare and Service Act.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e harmony of two conflicting values; public demand on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nd the freedom of the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e two values conflict with each other. But the destiny of legislation is matching a conflict.
In the concrete, board of directors needs to monitor the founder and CEO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more effectively. And the role of internal auditor needs to be enforced to increas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In the same breath, the freedom of the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needs to be respected as much as possible.
목차
[글의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공익법인 지배구조에 관한 이론적 기초
Ⅲ.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의 현황
Ⅳ.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와 관련된 개정안의 쟁점
Ⅴ. 사회복지법인의 지배구조와 관련한 입법의 기준 탐색
Ⅵ.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 관련 쟁점에 대한 검토와 개선방향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문제의 제기
Ⅱ. 공익법인 지배구조에 관한 이론적 기초
Ⅲ.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의 현황
Ⅳ.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와 관련된 개정안의 쟁점
Ⅴ. 사회복지법인의 지배구조와 관련한 입법의 기준 탐색
Ⅵ.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 관련 쟁점에 대한 검토와 개선방향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비영리연구』원고작성 및 투고요령
-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가 활동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동기추론이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기부대상영역에의 기부참여행동과 기부정기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슈퍼비전 실태와 직무관련 변인과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공익법인 지배구조의 현황과 법제도적 개선방안 - 사회복지법인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직무수행에 있어 멘토유무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 사회공헌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인식이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의 사회공헌에 관한 시민인식
- 한국에서 개인기부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틀의 한계와 보완방안에 대한 소고 - 1998-2004년의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