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의 정보공유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134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nformation Sharing Determinants in the NDMS
- 발행기관
- 한국국정관리학회
- 저자명
- 이재은(李在恩) 김겸훈(金兼勳)
- 간행물 정보
- 『현대사회와 행정』第17卷 第1號, 155~185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민간기업의 경영활동과정에서 사용했던 정보공유 분석모형을 활용하여 국가안전관리체계로서의 정보시스템을 이용하는 방재업무 담당공무원들 간에 이루어지는 정보공유의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또한 일반행정직과 소방행정직 방재담당 공무원들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공유 결정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 국가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의 정보공유 요인에 대한 인식에서 업무 처리의 상호의존도, 업무 프로세스의 코드화 가능성, 표준화 및 상호 연결성, 공유여건 등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조직문화, 시스템의 활용성 및 의사소통채널 등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국가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에서 정보공유 활성화를 위한 공유여건의 조성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기관 간 협조체제나 전산화, IT활용능력, 교육훈련 및 최고관리층의 관심 등이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안전관리 정보시스템 기능의 활성화에 시사하는 점은 우선 현행의 정보시스템과 관련한 제반사항은 사용자이며 고객인 담당공무원들의 의사와 요구를 충분히 수렴하여 실용성을 갖춘 시스템으로 재구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국가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은 중앙정부의 관리 및 통제를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일선행정기관들이 방재관련 업무처리의 효율화를 위한 지원적 보조시스템이라는 인식으로의 전환을 바탕으로 쌍방향적 시스템으로의 재구축을 도모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이 연구결과, 국가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의 정보공유 요인에 대한 인식에서 업무 처리의 상호의존도, 업무 프로세스의 코드화 가능성, 표준화 및 상호 연결성, 공유여건 등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조직문화, 시스템의 활용성 및 의사소통채널 등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국가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에서 정보공유 활성화를 위한 공유여건의 조성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기관 간 협조체제나 전산화, IT활용능력, 교육훈련 및 최고관리층의 관심 등이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안전관리 정보시스템 기능의 활성화에 시사하는 점은 우선 현행의 정보시스템과 관련한 제반사항은 사용자이며 고객인 담당공무원들의 의사와 요구를 충분히 수렴하여 실용성을 갖춘 시스템으로 재구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국가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은 중앙정부의 관리 및 통제를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일선행정기관들이 방재관련 업무처리의 효율화를 위한 지원적 보조시스템이라는 인식으로의 전환을 바탕으로 쌍방향적 시스템으로의 재구축을 도모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reviews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and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 scattered in 234 local governments. This paper has reviewed the nature of information sharing, examined the established studies, the types and evolution of information sharing, and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haring system.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model is expected to focus on sharing the information and improving the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 Second, the disaster management policy actors in local governments and fire fighting office should be involved with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ird, for the information sharing system to be effectiv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quipped with the integrated cooperative strategy among the public officials.
목차
Ⅰ. 서론
Ⅱ. 정보공유에 관한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Ⅱ. 정보공유에 관한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책형성 담론의 국가간 비교분석 - Schmidt의 제도적 담론분석 적용
- Philanthropic Behavior and Trust in Government in Korea
- 국가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의 정보공유 영향요인 분석
- 지방정부의 민원행정서비스 향상을 위한 발전방안
-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정책적 효과분석
-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지식공유 활성화 방안 - 지식공유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 행정조사분석에서의 결측치 처리방법 - NORM을 활용한 다중대체방법을 중심으로
- 전자정부 시민제안의 활용에 관한 연구
- 한국국정관리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Applying Interest Group Theories of Property Rights and Political Market Framework to Institutional and Policy Chang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