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행정조사분석에서의 결측치 처리방법 - NORM을 활용한 다중대체방법을 중심으로
이용수 340
- 영문명
- Applying Multiple Imputation for Incomplete Data in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국정관리학회
- 저자명
- 김덕준(金德俊)
- 간행물 정보
- 『현대사회와 행정』第17卷 第1號, 107~128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행정ㆍ정책현상을 대상으로 계량분석방법의 적용이 증대되어 왔으나 분석자료에 수반되는 결측치의 처리문제는 관심대상에서 제외되어 왔다. 하지만 결측치의 존재는 분석자료의 불완전성을 가져오며 도출된 추정치의 불편성을 훼손시키며 통계적 검증의 신뢰성을 과장함으로써 분석결과의 타당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은 결측치 보완방법으로서의 다중대체방법의 논리를 점검하고, 이를 실제 행정ㆍ정책연구의 분석자료에 적용하여 그 결과와 방법론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분석의 결과, 다중대체방법은 결측치의 발생기제가 무작위 방식일 때 효과적 보완방법으로 평가된다. 또한 그 발생기제에 상관없이 결측치 비율이 어느 수준 이상 높다면 일반적 보완방법인 완전사례분석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결측치 보완방법으로서의 다중대체방법의 논리를 점검하고, 이를 실제 행정ㆍ정책연구의 분석자료에 적용하여 그 결과와 방법론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분석의 결과, 다중대체방법은 결측치의 발생기제가 무작위 방식일 때 효과적 보완방법으로 평가된다. 또한 그 발생기제에 상관없이 결측치 비율이 어느 수준 이상 높다면 일반적 보완방법인 완전사례분석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lluminates the logic of multiple imputation (MI) method for missing data in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he paper utilizes NORM version 2.03 program to apply the MI method to a real incomplete data set.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the MI method is an effective solution for missing data especially in case of MAR (missing at random) data. Regardless of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missing data, in addition, the MI method can be evaluated as a more effective remedy than the general complete case analysis method if the proportion of missing data is relatively high.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the MI method is an effective solution for missing data especially in case of MAR (missing at random) data. Regardless of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missing data, in addition, the MI method can be evaluated as a more effective remedy than the general complete case analysis method if the proportion of missing data is relatively high.
목차
Ⅰ. 서론
Ⅱ. 결측치의 유형과 보완방법의 본질
Ⅲ. 다중대체방법의 논리와 실제
Ⅳ.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Ⅱ. 결측치의 유형과 보완방법의 본질
Ⅲ. 다중대체방법의 논리와 실제
Ⅳ.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책형성 담론의 국가간 비교분석 - Schmidt의 제도적 담론분석 적용
- Philanthropic Behavior and Trust in Government in Korea
- 국가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의 정보공유 영향요인 분석
- 지방정부의 민원행정서비스 향상을 위한 발전방안
-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정책적 효과분석
-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지식공유 활성화 방안 - 지식공유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 행정조사분석에서의 결측치 처리방법 - NORM을 활용한 다중대체방법을 중심으로
- 전자정부 시민제안의 활용에 관한 연구
- 한국국정관리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Applying Interest Group Theories of Property Rights and Political Market Framework to Institutional and Policy Chang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