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조(共組)학습 과정에서 드러나는 경험학습의 특징 - 연극활동 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963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process of “co-organizing learning” -a case of drama troupe-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김경애(Kim Kyung-Ae)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3권 제2호, 49~7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기존의 개인적인 의미화에 집중한 경험학습론의 관점을 공동체의 지평으로 확장시켜 놓고, 경험학습에 있어서의 역사성과 상호작용성의 측면, 즉 개별성과 공유가능성이라는 모순된 특성이 어떻게 관련지어질 수 있는지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예단이라는 적극적 공동경험 구성과정 사례에서 볼 때, 공동경험 구성과정은 상이한 경험세계를 가진 개별 학습자들이 모여, 그들의 경험세계를 내어놓고 공유하면서 하나의 통일된 경험을 직조해가는 과정으로, 궁극적으로 각자가 하나의 유기체의 부분인 것처럼 기민하게 호흡을 맞추게 되는 결과에 이르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이렇게 참여자들 각자의 경험이 표출, 파괴, 조율, 융합되어, 하나의 통일된 조직화의 힘을 발휘해가는 공동경험 양상을 ‘공조’라는 용어로 설명하였다.
  하나의 완결된 경험구성과정을 학습과정으로 볼 때, 경험을 공조하는 과정은 ‘공조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공조학습은 1) 인간탐구의 과정이라는 점, 2) 앎-인격적 관계-사랑이 묶여있는 학습형태라는 점, 3) 학습능력으로 언어뿐 아니라 지성, 신체, 감성 등을 포함한 기민한 소통능력을 포함한다는 점, 4) 학습자들이 맥락적으로 사고하고,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 5) 암묵지까지 공유하여 공동지식화하고 있다는 점, 6) 공조경험의 성취로서 확립되는 공동체성을 가진 학습공동체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는 점 등의 특징을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is a qualitative case study exploring the learning process when people experience collectively. Qualitative data, such as interviews, document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data from the case, ‘YeaDan’ drama troupe, were analyzed.
  The organizing process of collective experience by actors of ‘YeaDan’ consists of four dimensions: 1) self-confronting and self-dismantling to make themselves open to a new experience, 2)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the new role of the work, 3) tuning and sharing interpretation of the work, 4) harmonizing as if all are the part of an organic body.
  This study proposes a particular conceptualization of organizing collective experience as revealed in the case of ‘YeaDan’: ‘co-organizing experience’. This conceptualization is based upon Dewey"s theory on ‘the principle of continuity’ and ‘the principle of interaction’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Prior experience influences how the new experience is organized. So the prior experience of all the participants has to be shared, merged, and united, to organize a complete collective experience. ‘Co-organizing’ means that diverse people share their unique experience to form a shared experience frame, and organize a complete collective experience based on that frame. It ends with a creative ensemble in which all the members work in perfect harmon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a new concept for explaining the related phenomena. This work expands the horizon of the perspective on experiential learning from personal meaning-making to collective-sharing and organizing. It shed new lights on the connectibility of the individual experiences to be merged each other.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공동경험 사례
Ⅲ. 공조(共組)와 공조학습
Ⅳ. 결론: 공조학습과정에서 드러나는 경험학습의 특징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애(Kim Kyung-Ae). (2007).공조(共組)학습 과정에서 드러나는 경험학습의 특징 - 연극활동 과정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3 (2), 49-74

MLA

김경애(Kim Kyung-Ae). "공조(共組)학습 과정에서 드러나는 경험학습의 특징 - 연극활동 과정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3.2(2007): 49-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