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자기’는 어떻게 ‘미술’이 되었나 - 식민지시대 ‘고려자기열광’과 이왕가박물관의 정치학

이용수 1419

영문명
How "Goryojagi" Became "Art" : "Goryojagi-mania" and Politics of Yiwanga Museum in the Colonial Period
발행기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저자명
박소현(Park Sohyun)
간행물 정보
『사회연구』2006년 제1호, 9~45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4.0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고려자기의 미적 가치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순수미술의 신화와 박물관의 정치학이 식민지 지배라는 정치적 상황속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고찰한 것이다. 이 과정은 성역이었던 고분들의 ‘도굴’로 ‘고려자기 열광’이 발생하고 이왕가박물관이라는 제도가 설립되었던 점을 출발점으로 한다. ‘고려자기 열광’은 일본 컬렉터들의 다도 취미와 고미술품 수집이라는 문화적 맥락에서 발생해, 이왕가박물관을 통해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문화적 논리 산출에 기여했다. 그 대표격인 ‘조선예술쇠망론’은 조선(예술)의 쇠망과 일본이 조선(예술)의 보호자가 될 수밖에 없는 필연성을 주장했다. 이 ‘조선예술쇠망론’ 속에서 ‘고려자기’가 ‘조선예술의 정화’로 자리잡은 것은, ‘고려자기’가 일본적 ‘전통’인 ‘다도 취미’의 맥락 내에 수렴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이왕가박물관이 일본인 지배계급의 미적 취향에 공인된 문화적 가치를 부여하고 보증해 주는 기능 또한 담당했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아사카와나 야나기 등이 조선자기의 미적 가치를 주장하면서 지식인 부르주아 계급의 고유한 미적 가치를 수립한 점이나, 고려자기를 조선 민족의 ‘소유’로 회수한다는 대의 아래 행해진 간송 전형필의 수집은, 이왕가박물관이 창출해 낸 ‘조선예술쇠망론’이나 ‘보호자’로서의 정당성을 상대화했다. 이는 당시 고려자기라는 ‘전통’이 완결된 형태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고려자기의 미적 가치 및 수집을 둘러싼 당대의 경합을 통해서 끊임없이 충돌과 조정에 직면해야 했던 일종의 복합물이었음을 시사해 준다. 그러나 식민지 관료들에 의해 운영된 이왕가박물관은 이러한 경합의 과정을 상쇄시키는 힘이자, 고려자기에 내포된 복합적인 의미들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로 기능했다. 즉, 고려자기에 관한 미적 가치가 식민지 지배 논리와 강하게 유착됨으로써, 이왕가박물관은 복수의 이질적인 미학들이 박물관 내에서 경합을 벌이는 장으로 기능할 수 없었던 것이다. 여기에 이왕가박물관의 정치학의 핵심이 있으며, 당시 연이은 사설미술관들의 설립은 이를 반증해 주는 현상이었다.

영문 초록

  Goryojagi(the porcelain of Goryo Period) became Art and a new "tradition" through tomb-raiding and Yiwanga Museum(Royal Museum of Yi Dynasty) in the colonial period of Korea. Chasyumi(Japanese taste for tea) gave birth to Goryojagi-mania within Japanese high circles in colonial Korea. Goryojagi-mania contributed to produce the cultural rhetoric rationalizing colonialism, by constructing the "theory of perishment of Korean art" and making the image of Japan as a protector of Korean tradition and art. Within this theory, Goryojagi was ranked as "the flower of Korean art" because it was incorporated into the context of Chasyumi Japanese "tradition". But Asakawa Noritaka and Yanagi Muneyoshi insisted the artistic value of Joseonjagi(the porcelain of Joseon Period) over that of Goryojagi. Also, Gansong Jeon-hyungpil, the biggest Korean art collector, collected a large number of Goryojagis to retrieve Korean people"s own proprietary right to it. Both played a role relativatizing Japanese self-justification as protector and the "theory of perishment of Korean art". This means that the "tradition" of Goryojagi was not a completed one but a kind of hybrid or process. But the ritual of museum, making objects under colonial domination into Art, was the power checking the access to the hybridous meaning of Goryojagi. The core of politics of Yiwanga Museum was the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lonial domination and the ritual of Art.

목차

1. 서론
2. 고려자기 열광
3. 조선예술쇠망론
4. ‘다도 유행이 극에 달한 경성’
5. ‘고려자기’ 수집의 정치학 혹은 ‘전통’을 둘러싼 경합
6.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현(Park Sohyun). (2006).‘고려자기’는 어떻게 ‘미술’이 되었나 - 식민지시대 ‘고려자기열광’과 이왕가박물관의 정치학. 사회연구, 7 (1), 9-45

MLA

박소현(Park Sohyun). "‘고려자기’는 어떻게 ‘미술’이 되었나 - 식민지시대 ‘고려자기열광’과 이왕가박물관의 정치학." 사회연구, 7.1(2006): 9-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