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용 도서 서체 적용의 발전적 지향을 위한 연구 - 교과용 도서 전용 서체의 발전적 적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187

영문명
A Study for the Advanced Direction of a Textbook Typeface : Focus on the developed application of the exclusive typeface for a textbook
발행기관
한국출판학회
저자명
이종국(Lee Chong-Kook)
간행물 정보
『한국출판학연구』통권 제51호, 437~477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0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의 초ㆍ중ㆍ고등 학교 교과용 도서 서체의 바람직한 적용 방안이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주된 연구 문제로 제기하여 논의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아홉 가지로 요약되는 결론을 이끌어 냈다.
  첫째, 교과용 도서에서의 서체 개선은 문화적인 관습의 차원에서 신중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둘째, 현행 명조체류 이외의 서체들은 본문을 보완하는 부속 콘텐츠들에 선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편집상의 조화를 돕는 선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셋째, ‘초ㆍ중ㆍ고등 학교의 국어 교과서에는 어떤 서체가 적절한 것인가 ?’라는 물음을 전제하고, 서체 선정 과정을 공론에 회부하는 방안이 적극 실현되어야 한다.
  넷째, 저널리즘 서체(신문 명조체)가 일부 교과서의 바탕체로 진입했는데, 이런 현상은 서체 선택에 새로운 문을 연 중요한 실현이라 하겠다. 이 서체의 활달한 자면은 해당교과의 교과서가 지닌 이미지와 걸맞은 효과를 보여 주는 등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다섯째, 교과서 검정 요건으로 서체 및 판면 꾸밈에 대한 평가 비중을 높임으로써 수준 높은 매체 창출을 유도해야 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복수로 구성된 서체 및 출판ㆍ편집 전문가도 심사위원으로 초빙하여 분야별 전문성을 심화, 제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서체의 가속적인 증가는 바람직한 현상이다. 그러나 새로운 패키지를 개발할 때마다 기존의 것으로부터 차별화하는 데 기능적인 목적 지향을 두는 사례가 다발되고 있는 등의 부정적인 요인을 개선해야 한다.
  일곱째, 서체 연구는 일반적으로 외적 체제 요건으로만 종속시켜 논의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독립적인 주제로 다루는 등 국가적 프로젝트로 격상시켜야 마땅하다. 요컨대, 교과서가 출판물인 한에 있어서는(영상 미디어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거의 모든 교수ㆍ학습 내용이 문자를 통해 전달된다는 새삼스러운 사실에 깊이 유의해야 한다는 취지인 것이다.
  여덟째, 출판 매체와 영상 매체용 서체의 가독성이 동일한 수준이어야 한다. 즉, 인쇄 중심의 현행 서체는 디지털 화면 설계에 의해 얻어 내는 것이긴 하나, 이를 영상 수단으로 옮길 경우 자면의 선예성(鮮銳性)이나 줄기의 유연성면에서 문제가 있다는 점이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아홉째, 서체 연구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시급한 실정임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 따라서, 학교 교육 과정에서 서체 학습에 관한 최소한의 배려도 사실상 배제되어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차제에 이런 문제들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제기되기를 바라마지않는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nsisted of the contents debated on what a desired plan of the textbook typeface should be for an elementary school, a middle school and a high school of Korea, as a main study issue.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nine issues as followings;
  The first, the reformation of the typeface should be carefully applied in the textbook on the level of the cultural custom.
  The second, the typefaces except the current Ming-style print type should be chosen to the extent of the harmony in editing by using selectively the auxiliary contents which complement the main text.
  The third, on the assumption that ‘What kind of typeface is appropriate for Korean textbook of an elementary, a middle, and a high school?’, a plan which is come to public opinion on the process of the selection of typeface should be realized positively.
  The fourth, a journalism typeface(a newspaper Ming-style print type) is entered into a base Ming-style printing type of some textbooks; This phenomenon is regarded as an important realization opening a new door in selecting a typeface. The liberal font of this typeface is positively appraised such as showing the effect to correspond with the image of an appropriate textbook.
  The fifth, by increasing an appraisal weight on the decoration of a typeface or a format in the essential conditions of a textbook authorization, the creation of media on a high level should be led. In order to back it up, a large number of professionals in a typeface or a publishing edition should be called in as the judges, then there are the necessity for strengthening and increasing a specialization by each field.
  The sixth, the accelerative increase of a typeface is a desirable phenomenon. Whenever a new package, however, is developed, there have been a lot of cases for the functional purpose of the difference from a existing one; That negative factor should be improved.
  The seventh, the study of a typeface is generally apt to be debated only by subordinating to the factors of an external system; Like its dealing with an independent subject, it is suitable to be raise to higher status by a national project. In short, as far as a textbook is a publication(it is also the same in case of the image media), it should deeply pay attention to the abrupt fact that most of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are transmitted through a letter.
  The eighth, readability of a typeface for the publishing and the image media should be an equal level. That is, the current typeface centering around print is to be gotten by a digital screen design, but in case of transforming it into the image media, what has a problem in the sharpness of a letter or the softness of a stem is a subject to have to be overcome.
  The ninth, the positive support on a typeface study is a matter to have to be settled without a moment’s delay. Thus it is compelled to point out the fact that a minimum concern on the typeface learning is also excluded in a course of study. On this occasion, it is desired that the positive concern on these problems may be brought in.

목차

Ⅰ. 서론
Ⅱ. 교과서 서체에 관한 이해와 적용 현상
Ⅲ. 교과서 서체의 지향
Ⅳ.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국(Lee Chong-Kook). (2006).교과용 도서 서체 적용의 발전적 지향을 위한 연구 - 교과용 도서 전용 서체의 발전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 437-477

MLA

이종국(Lee Chong-Kook). "교과용 도서 서체 적용의 발전적 지향을 위한 연구 - 교과용 도서 전용 서체의 발전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2006): 437-4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