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 건강 관련 캠페인의 설득 효과
이용수 2707
- 영문명
- The Effect of Fear Appeal and Efficacy, Involvement on Mental Health related Campaign Message
- 발행기관
-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 저자명
- 박시은(Park Si eun) 최수정(Choi Soo jung) 정세훈(Jeong Se Hoon)
- 간행물 정보
-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제15권, 125~169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건강관련 효과적인 심리 상담 촉구 공공 캠페인 기획을 위해 캠페인 메시지의 공포수준의 강도와 효능감 수준, 그리고 수용자들의 기존 관여 수준에 따라 수용자가 느끼는 위협과 효능감 및 메시지 수용과 거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캠페인 메시지의 설득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56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2(공포소구의 강도: 고/저) × 2(효능감 수준: 고/저) 요인 설계로 진행되었다. 검증 결과, 공포 수준이 높은 캠페인 메시지를 본 경우 메시지에 저항하고자 하는 경향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능감 수준이 낮은 메시지에 노출된 경우 높은 경우보다 메시지 회피 경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우울증 유무 및 심리상담 경험 유무가 공포 수준과 효능감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발견되었다. 이는 캠페인 제작 과정에 있어 설득하고자 하는 대상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맞춤형 메시지 제작(tailoring)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기존 건강관련 공익 캠페인에 주로 활용되어온 공포소구를 EPPM을 통해 정신건강 메시지를 분석한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실제 정신건강에 대한 캠페인 제작 시 고려해야 하는 요인을 보여주어 실무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ar appeal and efficacy of health campaign message on users’ perceived fear level, perceived efficacy level, message acceptance, and message resistance. In this process, the influence of fear appeal and efficacy is examined based on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EPPM). 156 adults were randomly assigned to messages with two different level of fear appeal(high/low) and two different level of efficacy.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fear appeal in campaign message on perceived severity was found. Interaction between fear appeal level and efficacy level on response efficacy was also found. In addition, interaction between efficacy level and depression experience on message attitude was found. Similarly, interaction between efficacy level and counseling experience on message attitude was also found. Th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health communication and PR research by suggesting importance of tailoring based on audience features.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이 출판 콘텐츠 생산 과정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인터랙티브 웹툰 구성요인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 텔레프레즌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책에 대한 관심 변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