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능가경』의 禪法과 초기 禪宗(3) - 如來禪ㆍ祖師禪의 문제
이용수 379
- 영문명
- The Zen-doctrine in Lanka-sutra and Early Zen School (3) ---the problem of 'Tathāgata zen' and 'Patriarch zen' ---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저자명
- 박건주(Park keon-joo)
- 간행물 정보
- 『불교학연구』제8호, 185~21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ath?gata zen" which is stated in Lanka s?tra is not conditioned things in the casual state because that is Tath?gata"s protection-pra ctice for Bodhisattva. "Patriarch zen" which is called in later ages is not something particular with "Tath?gata (purity) zen" that is said by Shen-hui神會 and Ma-zu馬祖ㆍZong-mi宗密. By the way the special designation of "Patriarch zen" have some natural reason and historical background. That is, the first : they presented the type of awakening by conversation and to ask of matters directly, the second : the practice of transcendence of vipa?yan?, the third : the Dharma succession through direct transmission from mind to mind, the four : the zen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 non-forced practice, the five : misunderstanding on the [progressing into Tath?gata zen] for [Tath?gata zen]. Generally speaking the "Patriarch zen" is fundamental to Lanka zen, and include sanction of accomplishment on the assumption of embodiment in Dharma, and that is Patriarch"s personal transmission.
목차
Ⅰ. 서언
Ⅱ. 四種禪의 이해와 如來禪ㆍ祖師禪의 문제
Ⅲ. 祖師禪과 ‘指事以問’
Ⅳ. 『단경』의 頓悟頓修論과 祖師禪
Ⅴ. 『금강삼매경』에서의 ‘如來禪’과 仰山의 ‘如來禪’
Ⅵ. 결언
영문초록
Ⅱ. 四種禪의 이해와 如來禪ㆍ祖師禪의 문제
Ⅲ. 祖師禪과 ‘指事以問’
Ⅳ. 『단경』의 頓悟頓修論과 祖師禪
Ⅴ. 『금강삼매경』에서의 ‘如來禪’과 仰山의 ‘如來禪’
Ⅵ. 결언
영문초록
키워드
如來禪(Tath?gata zen)
祖師禪(Patriarch zen)
四種禪(the four kinds of zen in Lanka s?tra)
三解脫(vimok?a-mukha)
存三守一(the conditioned things of carrying with vimok?a-mukha and tathat?)
指事以問(conversation and to ask of matters directly)
絶觀(he practice of transcendence of vipa?yan?)
以心傳心(direct transmission from mind to mind)
頓悟頓修(the zen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
Shen-hui(神會)
Ma-zu(馬祖)
Zong-mi(宗密)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불교수행론과 젠더문제
- 사대부 학문 비판을 통해 본 대혜의 “유학적 선”
- 불교의 계율에 대한 새로운 이해 - 불교 윤리학을 위한 몇 가지 전제들
- 초기불교 중심교리와 선정수행의 제문제 - 화두선 전통과의 교두보 확보를 위하여
- 불교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盲兒得眼歌〉 연구
- 『능가경』의 禪法과 초기 禪宗(3) - 如來禪ㆍ祖師禪의 문제
- 靑泉 申維翰의 불교관 연구 -『奮忠紓難錄』을 중심으로
- 杭州 慧因院 (高麗寺)における華嚴學の動向
- ガムポパの『ラムリムタルゲン』に引用される『菩提道灯論』
- 불교학연구회 활동일지(2004. 1~6) 외
- 淸辨比量の東アジアにおける受容
- 승단 화합과 화합 포살
- 吉藏의 三論敎學이 元曉에게 미친 영향
- ‘유불일치론’에 나타난 함허당 기화의 불교사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